•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자율주행시대의 명과 암](상) 코 앞으로 다가온 '자율주행 시대'

등록 2023.11.06 11:11:1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국 곳곳에서 자율주행 시스템 도입 시범운영 착착

전북 자율주행 시대 맞춤형 연구와 도입 필요

경기도 자율주행버스(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경기도 자율주행버스(사진=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과학기술의 발전은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편리함을 가져다줬다. 이 중에서도 최근 자동차 업계의 뜨거운 감자가 있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자율주행’ 시스템이다. 꿈에 불과할 것 같았던 자율주행 시스템은 이미 사회 곳곳에서 도입이되고 있다. ‘자율주행’시스템은 더 이상 꿈이 아닌 현실로, 코앞으로 다가온 셈이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는 법. 현실로 도입되기 시작한 자율주행 시스템은 또 다른 사회문제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일자리’부터 ‘법 제도’, ‘안전’ 등 각종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전북도 ‘자율주행’ 시스템 도입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뉴시스는 ‘자율주행’의 명과 암에 대해 두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전주=뉴시스]최정규 기자 = 현재 우리는 2027년까지 자율주행을 안착시키기 위해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국토교통부가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통해 2025년까지 자율주행 버스를 상용화하고 2027년에는 운전자 없이 주행이 가능한 승용차를 상용화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이미 자율주행은 각종 시범사업 등을 통해 현실에 도입이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 택시를 도입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도입이 속속 이뤄지고 있다.

서울의 경우 청와대 관광객과 국회 방문객의 편의를 위한 자율주행 버스·셔틀을 운영 중이다. 도심 주요 노선인 합정-청량리간 자율주행 심야버스도 시범운행을 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도 자율주행셔틀을 총 2대 도입했다. 노선을 정기적으로 순환하는 ‘정기형 셔틀’ 1대와 예약승객을 대상으로 운행하는 ‘예약형 셔틀’ 1대로 운행한다.

이밖에도 광주·강원·제주 등 모든 시도에서 자율주행 시스템과 관련된 시범운영 사업이 진행 중이다.

운행구간은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장기주차장 구간으로, 규정속도에 맞춰 시속 30~50㎞로 주행한다.

전북의 일부 시군에서도 자율주행 이동수단이 시범도입 됐다. 익산시의 경우 자율주행 유상운송 플랫폼 구축사업, 군산시 선유도 자율주행버스 시범운행이 운영 중이다.

새만금에는 ‘자율운송 상용차 실증 인프라 조성사업’도 오는 2026년까지 시행된다.

무엇보다 전북은 ‘자율주행’ 시대에 맞춘 맞춤형 연구와 도입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전북연구원은 최근 이슈브리핑을 통해 완전하고 성공적인 자율주행 실현을 위해서 현재 국내에서 집중하고 있는 자율주행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실증리빙랩, 규제혁신, 인프라 및 산업생태계 조성 등 도시교통 분야에 대한 전라북도 차원의 지속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안했다.

전북연구원은 무엇보다 전북이 자율주행을 실증하기 위한 유리한 환경이라고 분석했다.
 

대부분이 평지로 거의 모든 지역에서 자율주행 실증이 유리한 환경이고, 이미 구축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가 있고 군산·익산 등 두 곳의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와 새만금이라는 모델도시 대상지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그 근거였다.

전북형 자율주행시대를 위해 ▲자율주행 중심의 공유·수요관리·대중교통중심의 정책 시행 ▲전북형 자율주행 리빙랩 조성·운영 ▲규제혁신 ▲전북광역모빌리티센터 기반의 맞춤형 인프라 ▲산학연 기반의 산업 생태계 조성 ▲관광형 자율주행차 운행 확대 ▲모빌리티 특화도시 조성 ▲미래 도시공간 연구 방안 등 대응방향도 제시한 상태다.

연구책임인 김상엽 박사는 “성공적인 자율주행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단기 또는 중기적으로 시행 가능한 전라북도만의 대응전략을 최우선적으로 수립·시행하고 향후 교통 및 기술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