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소나무재선충병 중장기 연구 착수…위성·방제기술 고도화
산림과학원, 3단계 연구 통해 우수 기술 축적
신속 예찰·저항성 유도체·기피제 개발…친환경 기술 연구
[대전=뉴시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가 소나무재선충병 방제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사진=산림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25년 발사될 농림위성 영상을 활용한 광범위한 지역의 신속·정확한 예찰기술 고도화 연구와 대구 달성·경북 포항·경남 밀양 등 소나무재선충병 '특별 방제 구역'에 대한 맞춤형 방제전략 수립을 위한 피해 확산 특성 연구에 착수한다.
또 ▲약제의 환경위해성 우려 해소를 위한 약제의 산림생태계 위해성 평가 ▲매개충 방제용 교미교란제와 기피제 등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기주 저항성 기작과 관련된 저항성 유도체 활용 연구 등도 추진한다.
특히 소나무재선충병 내병성 우수 개체 증식을 통한 클론보존원 조성·보급에도 나선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산불, 산사태와 달리 '소나무-소나무재선충-매개충'의 생물요인 간 상호관계에 의해 소나무림이 파괴되는 산림재난이다. 지난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생한 뒤 지금까지 약 1500만 그루의 피해목이 확인됐고 지난해부터 다시 확산세로 전환됐다.
그동안 산림청은 단계적으로 소나무재선충병 연구에 나서 연구 I단계(1989~2009년) 때 소나무재선충병의 기초 생태 및 방제 기술, 지침, 약 등을 개발했다.
이어 연구 II단계(2010~2015년)를 통해서는 현장 지원형 방제기술 다각화 연구에 집중해 나무주사제, 훈증제, 트랩 등을 개발하고 친환경 방제에 대한 연구에 집중한 뒤 연구 III 단계(2016~2023년)서는 예찰·진단 및 방제기술 고도화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30분 이내에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휴대용 유전자 기반 소나무재선충병 진단키트 개발, 드론 살포기술 확보 등 첨단 방제기술을 확보했고 내병성 우수 개체도 육성해 보급했다.
김인천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장은 "소나무재선충병 현장과 정책에 단비와 같은 연구성과를 도출해 우리나라 16억 그루의 소나무를 반드시 지내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