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국 WEF 관광발전지수, 세계 119개국 중 14위

등록 2024.05.27 09:13: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인천공항=뉴시스] 김명년 기자 =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자료사진) 2024.02.12. kmn@newsis.com

[인천공항=뉴시스] 김명년 기자 =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자료사진) 2024.02.1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세계경제포럼(WEF)의 2023 관광발전지수 평가 결과 대한민국 종합 순위가 119개 평가대상 국가 중 14위를 나타냈다고 문화체육관광부가 27일 전했다.

한국은 아시아 지역에서 일본(3위), 중국(8위), 싱가포르(13위)에 이어 종합 4위를 기록했다. 20위권 내 국가들 중에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 7개 국가는 순위가 상승했고, 7개 국가는 하락했다. 한국을 포함한 6개 국가는 순위를 유지했다.

세계경제포럼은 세계 국가의 여행·관광 경쟁력을 평가하고, 국가 간 벤치마킹을 유도하기 위해 2007년부터 격년으로 관광경쟁력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기존 관광경쟁력지수에 '관광의 지속가능성' 분야 평가 등을 더해 관광발전지수(TTDI)로 개편했다. 이번 '2023년 관광발전지수'에서는 지표의 구성과 산정 방식 등을 일부 더 수정·보완했다.
세계경제포럼(WEF) 2023 관광발전지수 평가 결과 대한민국의 종합순위가 119개 평가대상 국가 중 14위를 나타냈다. 2019년 대비 5대 분야 중 3개 분야에서 순위가 상승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세계경제포럼(WEF) 2023 관광발전지수 평가 결과 대한민국의 종합순위가 119개 평가대상 국가 중 14위를 나타냈다.  2019년 대비 5대 분야 중 3개 분야에서 순위가 상승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2019년 대비 5대 분야 중 3개 분야에서 순위가 상승했다. 1개 분야는 1단계 하락, 1개 분야는 순위를 유지했다. 특히 '관광의 지속가능성'(49위→16위) 순위가 2019년과 비교해 제가장 많이 상승했다, '관광 자원'(15위), '환경 조성'(20위)도 순위가 높아졌다.

17개 세부 부문 중에서는 2019년 대비 '문화 자원' 부문이 1계단 상승해 상위 10위권에 진입했다. '비레저 자원'도 11위로 높은 순위를 보였다. '정보통신기술(ICT) 준비 수준' 부문(2위)은 우리나라가 가장 강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육상·항만 운송 기반(인프라)' 부문도 2019년보다 4계단 상승하며 7위를 기록했다. '보건 및 위생'도 13위였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평가 결과를 면밀히 분석해 우리나라 관광경쟁력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강점 분야는 더욱 지원하는 한편 상대적 취약 부분은 조속히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23 WEF 관광지수평가 1위는 미국이 차지했다. 뒤를 이어 스페인, 일본, 프랑스, 호주, 독일, 영국, 중국, 이탈리아, 스위스 순이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