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주 시내버스 파업 재개 이틀째, 운행률 88% 유지

등록 2025.06.10 09:26:39수정 2025.06.10 09:39: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일부 대형 버스 감차, 노선 운행 횟수 줄어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에 나서고 있는 9일 오전 광주 서구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버스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만원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광주 시내버스 노조는 지난 5일 전면 파업에 나선 뒤 연휴 동안 준법투쟁을 벌이다 이날부터 다시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으로 인해 배차 간격이 늘어난 일부 노선에서는 승객이 한꺼번에 몰려 만원 버스가 운행되고도 있다. 2025.06.09. leeyj2578@newsis.com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에 나서고 있는 9일 오전 광주 서구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버스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만원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광주 시내버스 노조는 지난 5일 전면 파업에 나선 뒤 연휴 동안 준법투쟁을 벌이다 이날부터 다시 파업에 돌입했다. 파업으로 인해 배차 간격이 늘어난 일부 노선에서는 승객이 한꺼번에 몰려 만원 버스가 운행되고도 있다. 2025.06.09.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김혜인 기자 =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파업을 재개한 지 이틀째 버스 운행률이 첫날과 같은 88%를 유지하고 있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시내버스 회사 10곳 중 7곳이 파업에 들어갔다.

광주시는 평상시 버스 1000대를 운행하지만 파업에 따라 대체 기사를 투입, 882대를 운영하고 있다.

파업 여파에 따라 일부 대형 버스는 감차하거나 노선 운행 횟수가 줄었다.

광주 시내버스 102개 노선 중 49곳이 운행 횟수가 줄었다. 미운행 노선은 7곳, 46곳은 정상 운행 중이다.

주요 노선인 좌석02번은 20대에서 13대로, 수완03번은 27대에서 21대로 줄었다. 순환01번과 첨단09번은 대수는 유지하고 있지만 운행 횟수가 감소했다.

문흥18번과 진월07번은 정상 운행 중이다.

현재 노사 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시도 적극 개입을 자제하면서 파업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노조는 월급 8.2% 인상과 61세에서 65세까지의 정년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광주시는 버스 파업에 따라 출퇴근 시간 지하철 운행 횟수를 12회 늘리고, 이용객이 많은 버스 정류장에 택시를 집중 배차한다.

버스 운행률이 70%대로 떨어지면 전세버스를 투입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