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난해 세계 민간 기후금융 규모 2420억 달러…한국은 미미"

등록 2017.11.20 11:25:1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지난해 세계 민간 기후금융 규모 2420억 달러…한국은 미미"


"민간 기후금융 규모, 금융기관 중심으로 증가 추세"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기술의 성숙도가 올라가고 비용이 하락하는 등 친환경 사업의 투자 매력도가 상승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민간 기후금융 규모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지만 우리나라는 인프라가 부족해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일 이대원 KDB산업은행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 공개한 '최근 세계기후금융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 기후금융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3년 1990억 달러, 2014년 2410억 달러에서 2015년 2990억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기술비용 하락과 일부 국가의 투자 축소로 인해 2420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주요 국가는 그린본드 발행, 그린뱅크 설립 등을 통해 공공 기후금융 재원 확보와 자금공급을 확대함으로써 민간재원 유입과 금융기법 확산을 촉진하고 있다.

미국, 영국, 호주 등은 그린뱅크 설립을 통해 태양광 설비 리스,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 펀드 설립, 신용보강 등 각국 친환경 사업의 특성에 맞춘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민간 기후금융 구성 주체의 비중을 보면 프로젝트 개발사가 가장 크며, 기술 성숙도가 증가해 사업위험이 감소함에 따라 민간금융기관의 참여도 확대되고 있다.

특히 애플(Apple)사가 2016~2017년 총 25억 달러 규모의 그린본드를 발행하는 등 발행 주체도 다양화되는 추세다. 올 7월 JP모건은 2025년까지 2000억 달러 규모의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지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연구위원은 2015년 6월 우리나라가 유엔에 제출한 온실가스 감축목표(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37% 감축)를 달성하고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 관련 산업에 진출하기 위해 기후금융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2013년부터 올해 10월말까지 그린본드 발행 국내기관 수와 규모는 각각 4개(산업은행, 수출입은행, 한진 인터내셔널, 현대캐피탈)와 25억 달러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그는 "해외 신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 등 세계 친환경 사업의 참여 기회 발굴과 녹색·기후기술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기후금융 전문가 양성, 기후금융 상품 개발 등 국내 기후금융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기후금융은 명확한 하나의 정의가 있지는 않으나 '기후변화 해결을 목적으로 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후변화 완화·적응을 목표로 해 저탄소·기후복원 개발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자금흐름을 지칭하기도 한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