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 신고리 5·6호기 건설·탈원전 로드맵 발표

등록 2017.10.24 14:55: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 세종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조명균(왼쪽부터) 통일부장관, 문재인 대통령, 김동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현백 여성가족부장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2017.10.24. amin2@newsis.com

【서울=뉴시스】전진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 세종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조명균(왼쪽부터) 통일부장관, 문재인 대통령, 김동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정현백 여성가족부장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2017.10.24.  [email protected]

  文대통령 국무회의 의결 뒤 정부 탈원전 로드맵 발표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하되 원전 축소 정책 확정
  공론화기간 공사 중단된 계약·협력업체 손실은 한수원 보상

  【서울=뉴시스】 장윤희 기자 = 정부는 24일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재개하면서 탈원전 중심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나간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날 오후 2시30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조정실과 산업통상자원부 주축의 브리핑을 열고 제45회 국무회의에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권고 이행을 위한 정부대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청와대에서 제45회 국무회의를 열고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와 원전 축소 권고안 정부방침을 확정하고, 이에 대한 후속조치와 보완대책을 즉석안건으로 심의·의결했다.

  이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정책권고에 따른 것이다. 지난 6월 문 대통령은 대선 공약이었던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방침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자 공론화위원회를 운영해 그 결과를 따르겠다고 밝혔다. 

 신고리 공론화위원회는 약 3개월간 운영을 마치고 지난 20일 '건설 재개' 의견이 59.5%로서 '건설 중단' 40.5% 비율을 오차범위 이상으로 앞섰다며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 결정을 발표했다. 원자력발전 정책방향은 원전축소 53.2%, 원전유지 35.5%, 원전확대 9.7% 등으로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재개하되 원전 축소 방침을 권고했다.

 이날 정부 대책에 따르면 공론화위원회 기간 동안 신고리 5·6호기 공사가 일시 중단되면서 생긴 계약·협력업체 손실은 한국수력원자력이 보상할 계획이다. 구체적 보전 범위와 규모는 한국수력원자력과 계약·협력업체간 협의를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이밖에 현재 계획된 신규 원전 건설계획은 백지화되며 노후원전은 수명연장을 금지한다. 수명을 연장해 가동하고 있는 월성 1호기는 전력수급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조기 폐쇄된다. 한창 운영 중인 원전에 대해서는 원전 안전기준이 강화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 "정부는 국민의 뜻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후속 조치 과정에서 공론화위원회의 권고를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라며 "우리가 가야 할 탈원전·탈석탄·신재생에너지 확대의 에너지 전환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대를 확인 할 수 있었던 것도 의미 있는 성과"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결론에 대해 서면브리핑이 아닌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공론화 과정은 우리 사회 민주주의를 한층 성숙시키고 사회적 갈등 현안 해결에 새로운 모델을 만드는 계기가 됐다"며 "국가적 갈등과제를 소수의 전문가들이 결정하고 추진하기 보다는 시민들이 공론의 장에 직접 참여하고 여기서 도출된 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훨씬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열린 국무회의 브리핑에서 "정부는 공론화 후속조치로 백서발간, 영상 다큐 제작, 검증위원회 보고서 발간 등 공론화 전 과정을 빠짐없이 기록·관리하기로 했다"며 "금번 공론화 경험을 토대로 공론조사 표준매뉴얼을 개발하는 등 향후 통합과 상생 관점에서의 사회갈등 해결 모델 정립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도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