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5월 금통위 "성장 개선·물가 상방 리스크↑…긴축 충분히 유지"

등록 2024.05.23 11:00:1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3일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5%에서 동결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3일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5%에서 동결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한국은행이 23일 국내 경제 성장세가 예상보다 개선됐고 소비자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졌다고 우려하면서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연 3.5%에서 동결하고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예상보다 개선된 가운데 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물가 전망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상황"이라며 "물가가 목표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확신하기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기준금리를 11회 연속 동결한 것에 대해서는 "물가상승률이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세 개선,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으로 물가의 상방 리스크가 커진 데다 지정학적 리스크도 지속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면서 대내외 정책 여건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

국내경제는 성장세가 개선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근원물가 상승률의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소비자물가 전망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소비자물가에 대해서는 "앞으로 국내 물가는 성장세 개선 등으로 상방압력이 증대되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으로 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 "올해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도 지난 2월 전망 수준인 2.6% 및 2.2%로 각각 예상된다"고 봤다.

다만 불확실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했다. 금통위는 " 향후 물가경로에는 국제유가 및 환율 움직임, 농산물가격 추이, 성장세 개선의 파급영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다"고 했다.

국내 경제에 대해서는 4월 금통위 당시보다도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4월 금통위에서 '수출을 중심으로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는 평가는 "수출 호조가 이어지고 소비와 건설투자도 부진이 완화되면서 성장률이 예상을 크게 상회했다"고 수정됐다.

이어 "소비는 2분기 중 조정됐다가  하반기 이후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올해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2.1%)를 상당폭 상회하는 2.5%로 전망된다"고 언급했다.

외환 시장에 대해서는 "원·달러 환율은 미 달러화 및 엔화 등 주변국 통화 흐름,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 받으며 높은 수준에서 상당폭 등락했다"고 평가했다.

가계부채에 대한 시각도 변했다. 4월 금통위에서 '주택관련대출 증가세 둔화와 기타대출 순상환 지속으로 감소했다'는 평가가 이번에는 "가계대출은 주택관련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바뀌었다.

주택 가격에 대해서는 "대체로 하락세를 지속했으며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관련한 리스크는 잠재해 있다"고 봤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