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은 "반도체 호조세, 내년 상반기 이후까지 간다"

등록 2024.05.24 06:00:00수정 2024.05.24 06:34: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은 ‘최근 반도체 경기 상황 점검’ 경제전망 보고서

[서울=뉴시스]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반도체 공장 내부.(사진=삼성전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삼성전자 평택 캠퍼스 반도체 공장 내부.(사진=삼성전자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한국은행이 반도체 경기가 내년 상반기 이후까지 호조세를 보이며 우리 경제를 견인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24일 한은은 ‘최근 반도체 경기 상황 점검’ 보고서를 내놨다. 작성자는 조사국 경기동향팀 최영우 과장과 최종호 조사역이다.

보고서는 ChatGPT(챗지피티) 3.5 개발로 글로벌 반도체 경기가 지난해 초를 저점으로 반등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내 반도체 산업도 지난해 상반기부터 생산물량이 증가 전환했고, 하반기부터는 통관 금액 기준 수출도 상승하고, 메모리 가격도 상승세를 보였다.

다만, 올해 들어 국내 반도체 수출과 메모리 가격은 개선추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일부 반도체 관련 기업들이 예상보다 저조한 실적을 거두면서 반도체 경기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저자들은 글로벌 반도체 우쇼 측면에서 AI(인공지능) 서버가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면서 일반서버와 모바일, PC 부문 수요가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먼저 AI서버는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빅테크 간 AI 경쟁 심화로 관련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엔비디아 경쟁업체인 AMD가 최근 AI 반도체를 출시한 가운데 구글, 메타 등 서비스 중심의 빅테크 기업도 자체 AI 반도체 개발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서다.

일반 서버의 경우, 기존 설비의 노후화, 그간의 투자 부족 등이 수요 회복 요인으로 작용하고, 모바일, PC 부문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저자들은 예상했다.

모바일은 올해 초 AI 기능이 탑재된 갤럭시 S24가 판매 호조를 보이면서 하반기에 출시될 아이폰에도 AI 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 반도체 수요 확대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메모리 공급에서 반도체 기업들이 첨단 제품의 생산능력 확충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수익성을 중시할 가능성이 커 공급 확대가 제약될 가능성에 점유율보다 수익성 확보를 중시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최근 수요 및 공급 여건을 볼 때 반도체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고, 공급 확대가 제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반도체 경기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글로벌 반도체 경기 상승기에 국내 반도체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우리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 과장은 "국내 반도체 생산을 위한 설비 및 건설투자, 그리고 데이터센터 건설투자 등도 국내 경기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