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보험연구원 "기후변화에 대응한 보험상품 개발 필요"

등록 2024.05.26 12:00:00수정 2024.05.26 12:38: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혁신적 서비스로 새로운 시장 확대 도모"

보험연구원 "기후변화에 대응한 보험상품 개발 필요"


[서울=뉴시스] 신항섭 기자 = 기후 변화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음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보험상품 개발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보험회사들이 소액보험상품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26일 보험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기후변화와 건강 형평성'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보험연구원은 기온 상승, 대기오염 증가, 빈번한 기상이변과 같은 기후 변화는 사람들의 건강과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대기오염과 극한 기온은 심장 관련 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대기오염, 폭염, 풍수해 등은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전반적인 기온과 폭염일수는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고 미세먼지, 오존 등 대기오염 지수가 악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기후변화가 소외된 지역사회에 불균형적으로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계층별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취약계층은 열악한 주거 환경에 있고 야외작업 노동 참여가 높기 때문이다.

이에 보험회사가 기후 위험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저소득층을 위해 소액보험상품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양한 부가 서비스와 혁신적인 보험상품을 개발, 제공해 새로운 시장 기회도 얻을 수 있다는 판단이다.

구체적으로 지역자치단체, 연구기관 등과 협력해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보험,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경선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기후 위기 대응과 상생금융 실천의 일환으로 소액보험 상품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며 "저렴한 보험료로 보장을 제공할 수 있는 지수보험 형태의 상품 개발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후 위험과 관련해 보험회사는 고객의 건강 관리부터 부가서비스 제공에 이르는 전체 건강 가치사슬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수익 흐름을 다양화하고 새로운 시장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