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터넷은행 3사, 1분기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 30% 상회

등록 2024.05.24 15:47:23수정 2024.05.24 15:5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토스뱅크 36.3%, 케이뱅크 33.2%, 카카오뱅크 31.5% 순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정부와 국민의힘이 코로나19로 소액 채무를 연체한 소상공인과 서민을 위한 신용회복 지원에 나선다. 대상자는 2021년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2000만원 이하의 소액 채무 연체자로 5월까지 연체액 전액을 상환하면 연체 기록을 삭제 해주는 '신용사면'을 시행한다. 사진은 12일 음식점과 주점 등이 밀집된 서울 종로구 종각 젊음의 거리 모습. 2024.01.12.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정부와 국민의힘이 코로나19로 소액 채무를 연체한 소상공인과 서민을 위한 신용회복 지원에 나선다. 대상자는 2021년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2000만원 이하의 소액 채무 연체자로 5월까지 연체액 전액을 상환하면 연체 기록을 삭제 해주는 '신용사면'을 시행한다. 사진은 12일  음식점과 주점 등이 밀집된 서울 종로구 종각 젊음의 거리 모습. 2024.01.1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올해 1분기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이 30%를 웃돌았다.

24일 은행연합회 공시와 각사에 따르면 1분기 인터넷은행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은 토스뱅크 36.3%, 케이뱅크 33.2%, 카카오뱅크 31.5% 순으로 집계됐다.

토스뱅크는 1분기 기준 중저신용자 비중이 36.33%로 목표치인 30%를 상회하며 포용금융을 지속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1분기 기준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의 평균 잔액은 4조1900억원이다.

토스뱅크는 자체적인 신용평가모형인 TSS(Toss Scoring System)의 고도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상환능력이 있지만 기존 제도권에서 저평가돼온 건전한 중저신용자 발굴에 적극 나섰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말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이 33.2%로 전년 동기 대비 9.3%포인트, 지난해 말 대비 4.1%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케이뱅크가 올해 1분기 동안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3000억원이다. 지난 2017년 4월 출범 이후 올 1분기까지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누적 6조3000억원이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 포용금융 실천을 위해 ▲비상금대출 이자 캐시백 ▲소상공인 이자 캐시백 ▲영세자영업자 긴급생계비 지원 등을 실시했다.

지난 2월에는 처음 비상금대출을 받는 고객에게 한 달 치 이자를 지원했다. 2만7000여명의 소상공인 고객에게 51억원 규모의 이자 캐시백을 지급했다.

카카오뱅크의 지난 1분기 개인사업자 신용대출을 포함한 중·저신용대출 평균 잔액은 4조62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 3조6000억원 대비 1조원 이상 늘어난 역대 최고 금액이란 설명이다. 개인사업자 신용대출을 포함한 누적 중·저신용대출 공급액은 11조3000억원 규모다.

1분기 카카오뱅크 앱에서 신용대출 갈아타기를 이용한 고객 가운데 중·저신용 고객 비중은 51%로 분석됐다. 대출을 갈아탄 중·저신용 고객 중 절반가량(47.3.%)은 2금융권 신용대출을 대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 앱에서 타행 신용대출을 대환한 고객의 금리 절감 효과를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중·저신용 고객은 3.51%포인트, 2금융권에서 넘어온 고객은 5.31%포인트의 금리를 낮췄다.  저축은행의 신용대출을 카카오뱅크의 '중신용대출'로 갈아타면서 금리를 14.2%포인트 낮춘 고객도 있었다.

1분기 연체율은 여신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안정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전 분기 대비 0.02%포인트 하락한 0.47%를 기록했다.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은 1% 중후반대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