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벨로크, 원전 보안 설비 1차 고도화 작업 완료

등록 2024.05.27 09:52:2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벨로크는 원자력발전소 보안 설비의 1차 고도화 작업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인공지능(AI)·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전력 수요가 폭증하면서 국내외 원전 건설이 확대되는 가운데 벨로크는 원전 보안 분야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회사는 국내 원자력발전소 보안 업무를 통해 확보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원전 보안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벨로크는 1차로 원전 보안 시스템의 핵심인 '침입 방지 시스템(IPS)'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IPS는 네트워크 트래픽 내 의심스러운 패턴을 실시간으로 탐지해 침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IPS 사용 과정에서 변화하는 트래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수적이다.

이번 고도화를 바탕으로 벨로크는 국내 원전 추가 건설 및 한국형 원전 수출에 대응해 원전 보안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AI, 데이터센터, 반도체 등 전력소모가 큰 산업의 발전으로 효과적인 전력 조달을 위해 원전이 주목받고 있다.

정부가 이달 중 발표 예정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신규 원전이 2기 이상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전 수출과 관련해 30조원 규모 체코원전 사업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앞두고 있다.

벨로크 관계자는 "원자력발전소는 국가 주요 보안시설이기 때문에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해 체계적인 보안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이 필수적"이라며 "원자력 뿐 아니라 수력, 화력 등 다양한 발전소에 대한 15년 이상의 보안솔루션 공급·운영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원전 보안 관련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원전 보안 솔루션은 수주 후 설비 교체 시 추가 매출 발생이 가능한 구조"라며 "국내 신규 원전 건설 및 해외 수출용 원전에도 보안 솔루션 수주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사적인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벨로크는 2021년 원전 보안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했다. 고객사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해 추가 공급계약 체결에 성공했다. 벨로크는 연구인력 충원 및 발전소 보안 엔지니어 중심의 조직 개편을 통해 향후 원전 보안 솔루션 업무를 지속 수주해 나갈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