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분기 은행 부실채권비율 0.50%…전분기比 0.03%p↑

등록 2024.05.31 06:00:00수정 2024.05.31 06:46: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금감원, 2024년 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 발표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한국은행에 따르면 현금 서비스와 카드론 등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이 지난 2월 말 3.4%로, 2014년 11월(3.4%) 이후 10년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점수가 낮은 차주들이 1·2금융권에서 대출에 실패하자 카드론 등으로 몰린 영향으로 해석된다. 사진은 29일 서울 시내 한 거리에 붙은 신용카드 대출 광고물. 2024.05.29.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한국은행에 따르면 현금 서비스와 카드론 등 일반은행의 신용카드 대출금 연체율이 지난 2월 말 3.4%로, 2014년 11월(3.4%) 이후 10년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점수가 낮은 차주들이 1·2금융권에서 대출에 실패하자 카드론 등으로 몰린 영향으로 해석된다. 사진은 29일 서울 시내 한 거리에 붙은 신용카드 대출 광고물. 2024.05.2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올해 1분기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부실채권은 감소했으나, 은행들의 부실채권 정리 규모가 줄면서 전체적인 부실채권비율이 증가한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은 30일 이같은 내용의 '2024년 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을 발표했다. 올해 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50%로 전분기말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다.

부실채권은 13조4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9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여신(10조7000억원), 가계여신(2조5000억원), 신용카드채권(2000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대손충당금 잔액(27조2000억원)은 전분기말 대비 5000억원 늘었으나, 부실채권 증가로 대손충당금적립률(203.1%)은 전분기말보다 10.9%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4조5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2000억원 감소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은 3조1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3000억원 줄었다.

신규부실은 대기업(3000억원)이 전분기 대비 8000억원, 중소기업(2조8000억원)이 전분기보다 4000억원 감소했다.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1조2000억원으로 전분기와 유사했다.

올해 1분기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3조5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2000억원 감소했다. 이어 상·매각(대손상각 9000억원, 매각 1조4000억원), 담보처분 통한 여신회수(8000억원), 여신 정상화(4000억원) 등의 순이었다.

전체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0.61%)은 전분기말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여신(0.48%)은 전분기말 대비 0.02%포인트 하락한 반면, 중소기업여신(0.69%)은 0.05%포인트 상승했다. 이어 중소법인(0.89%)은 전분기말(0.85%) 대비 0.04%포인트, 개인사업자여신(0.41%)은 0.07%포인트 올랐다.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0.27%)은 전분기말 대비 0.02%포인트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0.18%)은 전분기말 대비 0.02%포인트, 기타 신용대출(0.53%)은 0.06%포인트 상승했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비율(1.61%)은 전분기말 대비 0.25%포인트 올랐다.

이처럼 올해 1분기 은행 부실채권비율은 신규 부실이 감소했지만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더 줄면서 소폭 상승한 모습이다.

은행 부실채권비율은 코로나19 저금리 시기인 2022년 9월에 최저점(0.38%)을 기록한 후 계속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이전(2019년말 0.77%)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크게 낮은 수준이다.

금감원은 "대손충당금 증가에도 부실채권 잔액 증가로 대손충당금적립률은 하락했지만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잠재리스크 현실화에 따른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