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35년 박물관 알리미 외길 이현주 "박물관, 보람 찾은 인생 전환점" [문화人터뷰]

등록 2025.07.06 13:00:00수정 2025.07.06 13:06: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

박물관 첫 홍보전문가…퇴임 후 공로연수

외규장각 의궤 반환, 이건희 유물 기증 홍보 산증인

"전시·행사만큼 학예사·디자이너도 인정받아야 마땅"

"박물관은 나를 변화시킨 곳…아직 퇴임 실감안나"

박물관 곳곳 사진으로 기록…사진전·포토에세이도

"박물관 알리는 일이라면 어디서, 무엇이든 할 것"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2025.07.05. 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2025.07.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35년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을 꾸준히 다닐 수 있게 한 원동력, 몸이 부서져라 홍보를 열심히 했던 그 원동력은 바로 박물관에 대한 사랑입니다."

지난 1990년 국립중앙박물관에 들어온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은 지난달 27일 홍보 업무를 마무리하고 퇴임했다. .

앞으로 1년 간의 공로연수에 들어가는 그를 지난 4일 박물관에서 만나 35년간 일한 소회를 들었다.

이 경력관은 "아직 은퇴가 믿기지 않는다"면서 "퇴임식 후 며칠이 지났지만 바로 교육을 갔고 오자마자 이렇게 다시 박물관에 왔다. 아직 실감은 나지 않아 마지막 출근길을 휴대전화로 찍어놨다"고 했다.

이 전문경력관은 35년전 '박물관 신문' 담당자로 입사했다. 이후 학예실에서 일하면서 홍보 전문가가 되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됐다.  전문가가 돼야 박물관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 같았고, 자신 만의 일을 만들어 가야겠다는 생각에 홍보관련 공부를 하게 됐다.

국립중앙뱍물관이 처한 환경도 그의 이런 결심에 힘을 실어줬다. 국립중앙박물관이 광화문에서 용산으로 이전하는 대변혁기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그는 PR 입문자·전문가 과정을 거쳐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고 홍보 일에 본격 뛰어들었다.박사과정 중에 박물관 홍보를 담당하는 최초의 정규직으로 합격해 지금까지 홍보 외길을 걸었다.

이 전문경력관은 "국립박물관 홍보전문직은 처음이었다. 당시 다른 기관들에는 없었다"며 "박물관 홍보를 위해 행사, 이벤트, 드라마 촬영 등 박물관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속속들이 알리려했다.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을 접목해 박물관과 전시를 알려왔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2025.07.05. 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2025.07.05. [email protected]


이 전문경력관은 존경하는 인물로  제 8대 이건무 전 관장을 꼽았다.

그는 "박물관 이전 개관 때 홍보TF팀에서 일하면서 석사를 졸업하던 즈음이었다"며 "이 전 관장님께 박물관 홍보를 하려면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제출했는데, 내가 공부하는 것을 참 많이 응원해 주셨다"으로 회상했다.

2011년 '외규장각 의궤 반환'과 2021년 '고(故) 이건희 기증 유물' 등 박물관사에 남을 굵직한 일들도 그의 손을 거쳐갔다.

그는 박병선 박사가 귀국하는 날 직접 공항에 모시러 갔고, 다음날 기자간담회도 박물관에서 열었다. 그날 오후엔 경복궁에서 열리는 외규장각 의궤 환수 행사를 지켜봤다.

이 전문경력관은 "외규장각 의궤가 돌아올 때 '내가 박물관에서 일하길 참 잘했구나'라고 느꼈다"며 "외규장각이 들어올 때마다 보도자료를 배포했고, 많은 행사를 기획했다. 힘들었지만 보람이 있었다"고 했다.

고 이건희 회장의 기증도 홍보 전문가인 그에겐 의미 있던 순간이다. 당시 전시 자체 뿐만 아니라, 전시를 기획한 학예사와 디자이너도 홍보 포인트로 넣었다.

하나의 전시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사람, 자신의 모든 것을 끄집어내 일한 사람은 당연히 존중받아야 하고 인정받아야 한다는게 그의 생각이었다.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2025.07.05. 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2025.07.05. [email protected]


이 전문경력관의 박물관에 대한 사랑은 자신의 타고난 기질을 바꿔 놓을 만큼 컸다.

그는 "MBTI에서 'I(Introversion, 내향형)'로 워낙 수줍음이 많은 사람이었는데 박물관을 홍보하면서 좀 변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며 "그래서 가장 먼저 한 일이 웃는 연습이었다. 표정이 강하게 보일까봐 아침에 일어나 거울을 보고 웃는 연습을 했다. 지금도 사적인 이야기는 잘 안하는 편이지만 박물관과 관련한 이야기는 많이 하면서 활달한 사람이 됐다.  "고 털어놨다.

이어 "이젠 나를 표현하는 용기도 생겼다. 박물관은 나를 변화시킨 곳이란 생각이 든다"며 "박물관에 청춘을 바칠 만큼 애정하고, 그곳에서 보람을 느끼며 제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고 말했다.

박물관에 대한 그가 찍어온 박물관 풍경 사진들에 그대로 묻어난다.

사진을 찍기 시작한건 2014년부터 3년간 박물관신문에 박물관 풍경을 찍어 짧은 글을 실으면서 부터다. 이후 매일 아침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계정에 글과 사진을 올렸다. 한발 더 나아가 사진전을 열고 포토에세이 '빛 내리다-박물관의 빛, 꽃, 바람 색'도 펴냈다.

그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소는 '사유의 방'과 '기증관'이다.

그는 "사유의 방은 코로나 때 많은 분이 위로받았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아침 일찍 사람들이 없는 순간에 잠시 머무르기도 하는 '위로의 방'이기도 하다"고 했다.

'기증관'에 대해선 "쉼과 예술이 어우러지는 곳으로, 전시실 같지 않으면서도 문화유산을 오롯이 느낄 수 있어 색다른 공간"이라고 소개했다.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2025.07.05. 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이현주 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이 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터뷰 하고 있다. 2025.07.05. [email protected]


아마도 그의 박물관에 관한 관심과 사랑은 쉽게 식지 않을것 같다.

그는 은퇴 후 계획을 묻자 "박물관을 사랑했던 만큼 저 자신을 사랑하고 저 자신을 위한 일을 하고 싶다"면서도 "박물관에 관해 이야기할 공간이 있다면 그곳에 가서 이야기하고 책을 써서 알릴 수 있다면 더 알리려 한다. 인생의 많은 부분을 이곳에서 보냈으니 멀리 떨어져도 이곳을 응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홍보도 시대에 따라 많이 변했다"며 "새로운 것을 가장 먼저 받아들여서 이를 박물관과 연계해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고 그 유물에 다른 이야기와 새로운 기법을 덧붙여서 관람객들이 시대에 맞게 이해를 잘하도록 전달하는 것이 홍보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라는 조언도 잊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