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080억 지원 지역혁신플랫폼에 경남·충북·광주전남 선정

등록 2020.07.16 10: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경남 충북은 연 298억, 광주·전남 복수형 478억

공유대학 모델 첫 도입…공동교육·복수학위 추진

교육부 세 지역에 규제샌드박스 체제 도입키로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주요사항을 발표하고 있다. 2020.01.20.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강종민 기자 =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주요사항을 발표하고 있다. 2020.01.20.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이연희 기자 = 경남, 충북, 광주·전남 3개 지역이 국고 1080억원을 지원받고 대학과 손 잡고 지역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사업' 수행 대학으로 선정됐다. 경남과 충북은 광역 시·도 단일형, 광주·전남은 복수형이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16일 오전 10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지역혁신플랫폼)을 수행할 지역 플랫폼 3개를 이 같이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사회와 산업 수요에 지자체 대학이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이 지속적으로 상생(win-win)하는 구도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교육부는 광역 시·도 단일형 2곳은에 연 298억원씩, 인근 광역시·도가 참여하는 복수형 1곳은 478억원을 지원한다. 각 지자체는 예산 30%를 마중물로 추가 지원한다. 단일형은 약 128억원, 복수형은 약 205억원에 해당된다.

지방대학과 지자체가 긴밀한 협업체계로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업 ▲연구소 ▲고등학교 ▲교육청 ▲테크노파크 ▲상공회의소 ▲창조경제혁신센터 등 다양한 지역혁신 관련 기관들이 참여하는 형태다. 각 플랫폼에서는 대표대학인 총괄대학과 분야별 대표인 중심대학, 기타 참여대학 등의 형태로 복수 참여가 가능하다.

각 플랫폼에서는 지자체와 총괄대학 장이 공동위원장으로 한 '지역협업위원회'을 통해 운영 사항을 결정하고, 총괄운영센터는 전담인력과 각 기관별 파견인력이 모여 실무를 담당한다. 대표격인 총괄대학은 대학교육혁신본부를 구성하고, 지역 발전 분야별 팀은 지자체와 여타 중심대학이 주관하게 된다.

교육부가 지난달 19일 접수한 결과 비수도권 14개 지역은 모든 시도가 단독 또는 연합으로 총 10개 플랫폼을 구성해 지원했다. 선정평가 결과 세 플랫폼이 최종 선정됐다.

경남은 경상대를 총괄대학으로 창원대, 경남대 등 17개 대학과 손 잡고 제조엔지니어링, 제조ICT, 스마트 공동체 분야를 핵심분야로 정했다. 이외 경남교육청, LG전자 등 도내 기업과 한국전기연구원 등 기관과 함께 협력하기로 했다.

다음으로 충북은 제약바이오, 정밀의료기기, 화장품천연물 분야를 핵심분야로 삼았다. 충북대를 총괄대학으로 정하고 한국교통대 등 15개 대학과 함께 플랫폼을 구성했다. 충북교육청과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오송베스티안병원 등 44개 기관이 지역혁신기관으로 참여한다.

마지막으로 유일한 복수형인 광주·전남은 에너지신산업과 미래형운송기기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 전남대를 총괄대학으로 목포대 등 15개 대학이 참여한다. 지역혁신기관으로는 두 지역의 교육청과 테크노파크, 한국전력공사 등 32개 지역혁신기관이 협력한다.

이들 대학은 공통적으로 지역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상생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대학이 가진 강점분야를 내세우는 '공유대학 모델'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경남은 1~2학년 과정을 공통교양 플랫폼을 통해 이수하고 3~4학년 과정은 중심대학에서 개발한 학·석사연계과정과 융·복합전공, 자기설계전공으로 이수하는 방식이다.

또한 지역별로 이전공공기관과 지역혁신클러스터 기업, 연구개발특구연구소 수요에 맞춰 핵심인력 육성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한 초중고교 교육과 대학 교육을 연계해 고급인재 육성의 체계성을 확보하고 대학의 역량도 지역사회로 확장하고자 했다.
 
교육부는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연내 개정해 플랫폼 구축지역에 고등교육 규제샌드박스 체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교육부는 규제혁신 등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이들의 성공모델을 바탕으로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을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