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세종시 재산 10억원 이상 부자 증가율 17개 시·도 중 1위, 이유는?

등록 2022.12.07 11:28:11수정 2022.12.07 13:10: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020년 2400명→2021년 3400명, 41.7% 증가 전국 최고

아파트 가격 상승, 공무원 특성 안정적 급여 등 상승요인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22 한국 부자 보고서' 발표

[뉴시스=세종]세종시 종촌동 아파트 단지 전경. 2022.12.07.ssong1007@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뉴시스=세종]세종시 종촌동 아파트 단지 전경.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송승화 기자 = '공무원 도시' 세종시가 코로나19 장기화 사태 이후 최근 2년 사이 '부자(富者)' 수가 약 2배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현상은 증가율면에서도 전체 17개 시도 가운데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최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022 한국 부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금융자산(financial asset)'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개인을 '부자'라고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말 기준 전국 10억원 이상 자산보유 부자 수는 42만4000명으로, 2020년말(39만 3000명)보다 3만 1000명(8.0%) 늘었다.

한국 부자는 2021년 42만4000명으로 전년대비 8.0% 증가, 금융자산규모는 2883조원으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다

또한 2021년 말 기준 한국 부자는 수도권에 70.3%가 집중됐다. 부자 가구의 총자산 중 거주용 부동산(27.5%)과 유동성자금(14.2%)이 대부분을 비중 차지했다.

[뉴시스=세종]지역별 부자 수와 증감 및 증감율 현황. 여기서 증감율은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자료 근거 뉴시스 계산) *재판매 및 DB 금지

[뉴시스=세종]지역별 부자 수와 증감 및 증감율 현황. 여기서 증감율은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자료 근거 뉴시스 계산) *재판매 및 DB 금지

전국 ‘부(富)집중도 지수’에서는 서울시와 세종시가 높고, 전년 대비 지수가 상승한 지역은 세종시와 강원도다. ‘부 집중도 지수’는 수치가 클수록 해당 지역의 부집중도가 높고 고자산가가 많다는 의미다.

‘서울’과 ‘세종’의 부집중도 지수가 1.0초과로 가장 높고, 이어 부산, 광주, 대구, 제주, 강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종시는 2년 연속으로 부자 수 증가율이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보고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사태 직전 해인 2019년 1800명에서 2020년 2400명, 2021년에는 3400명으로 늘었다.

증가율로 보면 2020년 27.8%, 지난해에는 41.7%다. 1년 사이 거의 2배로 늘어난 셈이다.

이 같은 역사가 짧고 대기업도 없는 세종에서 이처럼 부자 수가 급증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해석된다.

[세종=뉴시스]전국 광역시도별 부집중도 지수

[세종=뉴시스]전국 광역시도별 부집중도 지수

첫째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지난 2020년에 아파트 매매가격이 40% 이상 급등하는 등 그동안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올랐다. 매년 발표되는 장·차관급 등 정부 고위 공직자 재산 공개를 보면 세종시 아파트 소유는 빠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이후에는 아파트 가격이 계속 하락함에 따라 내년에 나올 보고서에서는 세종의 부자 수 증가율이 올해보다 훨씬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로는 안정적인 급여를 받는 공무원과 연구원 비중이 높은 것도,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통계청이 지난 1일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에 따르면 세종시 가구당 평균 소득은 5437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지역 경제가 입는 피해가 다른 지역들보다 적은 편이다.

한편 보고서에는 한국 부자들이 향후 자산운용에서 가장 우려하는 위험요인은 ‘금리인상’(47.0%)과 ‘인플레이션’(39.8%)이었다. 이외 ‘부동산규제’(35.8%),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35.0%), ‘세금 인상’(32.5%) 등도 향후 자산운영의 위험요인으로 꼽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