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돌파감염 난리인데, 접종자는 무적이냐"…백신패스·음성확인서 놓고 '시끌'

등록 2021.10.29 10:54:26수정 2021.10.29 11:50: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창원 한 병원에서 100여명 넘게 전원 돌파감염 생겼는데..."

"검사 늘면 미접종 확진자 많이 발견될 것"…'마녀사냥' 우려

"백신 안 맞고 남들이랑 똑같이 다 하고싶냐" 반박 의견도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11월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방역체계가 전환되는 가운데 헬스장·목욕탕 등 일부 다중이용시설에 백신패스 도입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백신 미접종자들은 기본권 침해라고 반발하며 청와대 청원에 반대 의견이 올라오기도 했다. 28일 오후 서울 시내 헬스장에서 시민들이 운동을 하고 있다. 2021.10.28. kch0523@newsis.com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11월 1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방역체계가 전환되는 가운데 헬스장·목욕탕 등 일부 다중이용시설에 백신패스 도입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백신 미접종자들은 기본권 침해라고 반발하며 청와대 청원에 반대 의견이 올라오기도 했다. 28일 오후 서울 시내 헬스장에서 시민들이 운동을 하고 있다. 2021.10.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광주 인턴 기자 = 정부가 29일 '단계적 일상 회복' 이행 계획을 최종 발표한 가운데 '백신패스'와 '음성확인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날 김부겸 국무총리가 발표한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에 따르면, 다음 달 1일부터 정부는 백신접종 유무와 관계없이 사적모임을 수도권 10명, 비수도권 12명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유흥시설이나 헬스장에서는 백신패스가 적용된다.

앞서 정부는 접종증명·음성확인제를 골자로 한 단계적 일상 회복 방침을 공개했고 실내체육시설 이용자 등을 중심으로 찬반 의견이 엇갈렸다.

특히 이날 디시인사이드를 비롯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백신패스 도입 시 미접종자가 제출해야 하는 '음성확인서'를 중심으로 의견이 엇갈렸다.

논쟁에 불을 지핀 건 '접종자에게서도 코로나19 돌파감염 사례가 발견되는데 음성확인서를 미접종자에게만 제출하도록 강제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이다. 더군다나 이날 경남 창원의 한 종합병원 정신과 병동에서 환자와 종사자 등 100여명이 무더기로 돌파감염으로 확진되는 일도 발생했다.

한 네티즌이 "미접종자 보호한다는 명목이라는데, 백신 맞으면 무적도 아니면서 왜 미접종자만 음성확인서 내라고 하냐"고 게시물을 올렸다.

또 다른 이는 음성확인서를 제출한 미접종자의 확진 사례가 더 많이 나올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미접종자를 향한 비난의 시선을 우려했다.

그는 "당연히 확진자도 대부분 미접종자만 나오게 된다"고 적었다. 미접종자가 검사를 더 많이 받게 되므로 이들에게서 확진 사례가 많이 나올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그는 "이걸 핑계로 미접종자가 코로나가 끝나지 않는 원흉이라고 몰아가서 극한의 편 가르기를 할 것"이라며  "마녀사냥 엄청 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뉴시스] 29일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29일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백신패스를 찬성하는 이들의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한 네티즌은 부작용 위험을 감수한 접종자가 미접종자와 똑같은 방역 완화 혜택을 받는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안 맞았으면서 남들이랑 똑같이 다하고 싶냐"라고 꼬집었다.

이와 같은 의견을 가진 네티즌은 "한국 정도면 미접종자에 대해 상당히 관대한 수준"이라고 게시글을 적어 올렸고 해당 게시들에는 추천과 비추천이 팽팽하다.

백신패스 도입이 확정되자 시설 이용을 아예 포기하는 이도 생겼다. "11월부터 다이어트 시작하려고 했는데 백신패스 때문에 그냥 내년에 시작해야겠네"라고 푸념하는 이도 나왔다.

당분간은 음성확인을 시행하되, 점차 자율에 맡겨야 한다며 "앞으로 증상 없으면 pcr도 안 하는 방향로 가야 한다" 중재안도 댓글을 통해 나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