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北 핵보유국 지위 인정 못해"···푸틴 발언 오역 논란

등록 2017.09.06 19:11: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블라디보스토크(러시아)=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공동언론발표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2017.09.06. photo1006@newsis.com

【블라디보스토크(러시아)=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공동언론발표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2017.09.06. [email protected]

【블라디보스토크(러시아)=뉴시스】김태규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문재인 대통령과의 한·러 정상회담 뒤 이뤄진 공동언론발표에서 북한의 6차 핵실험과 관련한 중요한 언급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국내에 소개된 방송에는 잘못된 통역본이 소개돼 논란이 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6차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절대 인정할 수 없고, 앞으로도 인정하지 않겠다는 말을 했지만 국내에는 "북핵을 용납할 수 없다"는 말로 잘못 소개됐다.

 푸틴 대통령은 발표 말미에 한반도 안보 정세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을 밝히는 부분에서 "우리는 이번 회담에서 한반도 사태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다"며 "지난 9월4일 전화 통화에 이어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인한 상황 악화에 대해 논의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그러면서 "나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러시아의 입장을 확고히 밝혔다"며 "러시아는 북한의 핵지위를 결코 용인하지도, 인정하지도 않고 앞으로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하지만 국내 생방송에는 이 부분이 "러시아는 한반도 문제에 있어서 9월4일 정상통화에 이어서 6차 핵실험과 관련해서 원칙적인 입장을 표명했다"면서 "러시아에서는 북핵을 용납할 수 없다"고 소개됐다.

 한·러 정상회담장의 공식 통역사의 통역과 방송사에서 자체 고용한 통역사의 통역 내용이 판이하게 다른 것이다.

 단순히 북핵을 용납 못한다는 것과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푸틴 대통령이 현실 인식을 어떻게 하고 있느냐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뉘앙스상 비슷하지만 해석에 따라 향후 대북접근법이 완전히 다를 수 있다.

 국내 생방송에서 소개한 푸틴 대통령의 발언대로라면 러시아는 북한이 핵을 보유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원칙론을 내세운 것이 된다. 추상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론만을 거론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은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 지위를 얻기 위해서 이번 6차 핵실험을 한 것이라고 그 의도를 간파하고 말려들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북한은 앞서 인도·파키스탄 모델에 따라 6차례 핵실험을 끝으로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겠다는 의도로 핵실험을 감행한 것이라는 게 국제사회의 인식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발언에서 이런 북한의 의도와 관계없이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는데 잘못 소개가 된 것이다.

 이외에도 푸틴 대통령은 "감정에 휩싸여 북한을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세울 필요가 없다.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냉정한 자세로 긴장고조를 유발하는 조치를 피해야 한다"며 "정치·외교적 해법 없이는 현재 상황을 해결하기 어렵다"고 북한을 두둔하는 발언을 했다.

 그러나 이 부분 역시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재 조치로만은 해결이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표현해 오역 논란을 불렀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