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통합당 "정부-의협 한발씩 양보…일단 코로나 극복해야"(종합)

등록 2020.08.26 11:53:0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김종인 "공공의대 급하지 않아…의지만으로 정책 안 돼"

이명수 "보건당국과 의사들 간 대화가 안 되는 게 문제"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주호영 원내대표 등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장-중진의원 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2020.08.2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주호영 원내대표 등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장-중진의원 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2020.08.2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문광호 기자 = 미래통합당은 26일 정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가 공공보건의료대학(공공의대) 설립, 의과대학 학생 수 증원 등을 두고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정부와 의협은 한 발짝씩 서로가 양보해서 일단은 코로나 극복에 전력을 행사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협상 결렬로 의료계가 사흘간 총파업에 들어가는 것에 대해서도 "의료인들이 코로나 극복을 위해 전력투구해야 할 시기"라고 우려했다.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장-중진의원 회의에 참석해 "정부와 의사간 타협점을 찾지 못하는 것 같은데, 의과대학 증원과 공공의대 설립 등이 논쟁의 근거가 돼서 의사들이 파업하는 불상사가 일어나는 것 같다"며 "(공공의대 설립은) 시급한 과제가 아니다. 코로나 극복보다 중요한 게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사람들이 의료에 종사하는 의사와 간호사들"이라며 "이들이 열정적으로 코로나 극복에 노력해줘야 하고, 국민 각자가 정부가 제시하는 여러 준칙을 준수해야만 우리가 극복할 수 있지 않나"라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에 "정책이 힘과 의지만 갖고 관철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라. 그것만으로 모든 게 해결되지 않는다"고 했다.

20대 국회에서 보건복지위원장을 역임한 이명수 의원은 "의대 정원 문제와 관련해 기본적으로 보건당국과 의사들이 거의 대화가 안 되는 게 문제"라며 "의사 면허를 보유한 사람만 12만명이 넘고 현장 직접 종사자도 10만명 정도다. 의사 수가 부족한 게 아니라 의사를 적절히 배치하지 못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이명수 미래통합당 의원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장-중진의원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0.08.2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진아 기자 = 이명수 미래통합당 의원이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장-중진의원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0.08.26. [email protected]

이어 "의대 정원문제는 보건당국이 일방 결정 할 게 아니라 의협과 대화하는 게 먼저"라며 "절차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일방적으로 의사를 늘리겠다는 근거가 뭔지 모르겠다. 밀어붙이는 식의 의대증원과 공공의대 설립은 무리다. 재검토해야한다고 판단한다"고 주장했다.

통합당 윤희석 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신설 추진 중인 공공보건의료대학의 신입생 선발에 시민단체가 관여한다는 발표가 났다"며 "우리 국민이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부분을 함부로 건드렸다. 정부와 여당의 오만이자 오판"이라고 했다.

이어 "시·도지사 임의 추천이 아니라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추천위원회에서 2~3배수 추천하게 한다는 것"이라며 "여기에 시민단체가 왜 나오는가. 시민단체가 뭔데 학생을 추천하는가. 진정 이 정부는 시민단체 정부가 맞는 모양"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념이 생명에까지 관여해서는 안 된다. 추천과 면접으로 때운 의대를 나와 실력도 없는 의사에게 그 어느 국민이 신체를 맡기겠는가"라며 "공공보건의료대학의 설립 취지를 이해 못할 국민은 없다. 그런데 왜 이 대학 신입생들만은 추천과 면접으로만 선발해야 하는지 상세히 설명하라. 거기에 왜 시민단체가 참여해야 하는지 철저히 해명하라"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