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준석, '權 직대' 붕괴 위기에 대표 복귀 멀어지나

등록 2022.07.31 07:00:00수정 2022.07.31 07:47: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권성동 체제, 사적채용·내부총질 대화에 위기

배현진 최고위원 사퇴·초선 비대위 요구 성명

尹대통령 국정 지지도 첫 20%대에 논의 가속

직대 체제 붕괴 시 李 '당대표 복귀' 무산 가닥

잠행 힘 잃을수도…일각선 "李 자중해야" 조언

'내부총질' 문자로 '정권 부당탄압' 이미지 인식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지난 22일 오전 대구 수성구 범어네거리 인근 한 빌딩 전광판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응원 영상이 나오고 있다. 2022.07.22. lmy@newsis.com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지난 22일 오전 대구 수성구 범어네거리 인근 한 빌딩 전광판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응원 영상이 나오고 있다. 2022.07.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의 잦은 실수와 논란으로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가 흔들리면서 이준석 대표의 당대표 복귀 가능성이 줄어드는 모양새다. 이에 잠행 중인 이 대표의 장외 여론전 노력도 빛을 잃을 수 있다.

다만 일각에선 장기적으로는 이 대표의 잠행이 유리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래 지지층이 될 젊은 층을 끌어들이는 데다 '내부총질 당대표' 텔레그램 메시지가 오히려 이 대표에게 동정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31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11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추인된 당대표 직무대행 체제는 18일 만인 지난 29일 붕괴 위기에 처했다. 대통령실 사적채용 논란과 해명 과정에서의 말실수, 윤석열 대통령의 '내부총질' 텔레그램 메시지 공개 등으로 당 안팎에서 비판 여론이 들끓고 있어서다.

배현진 의원이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면서 지도부 와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배 최고위원은 29일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이후 80여 일이 되도록 속 시원한 모습으로 국민들께 기대감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사퇴했다.

국민의힘 초선 의원 일부도 비대위 전환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당 지도부에 전달했다. 같은 날 발표된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취임 후 첫 20%대인 28%로 떨어지면서 비대위 움직임을 가속화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배현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 원내대표실에서 최고위원 간담회를 마치고 나와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 배 최고위원은 “윤석열 정부가 5월에 출범한 이후에 국민들께서 저희에게 많은 기대와 희망으로 잘해보라는 바람을 심어주셨는데 저희가 80여일 되도록 속 시원한 모습으로 국민들께 그 기대감을 충족시켜드리지 못한 것 같다”고 밝혔다. (공동취재사진) 2022.07.2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배현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지난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 원내대표실에서 최고위원 간담회를 마치고 나와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 배 최고위원은 “윤석열 정부가 5월에 출범한 이후에 국민들께서 저희에게 많은 기대와 희망으로 잘해보라는 바람을 심어주셨는데 저희가 80여일 되도록 속 시원한 모습으로 국민들께 그 기대감을 충족시켜드리지 못한 것 같다”고 밝혔다. (공동취재사진) 2022.07.29. [email protected]

이처럼 비대위 전환 압박이 거세지면서 부담을 느낀 당 지도부가 잇따라 사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당내 의원들 사이에서는 현 직무대행 체제로 떨어진 국정 지지도를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인식이 공유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여기에 정권 초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낮으면 국정 동력을 잃는다는 위기의식이 작용했다는 해석도 있다.

직무대행 체제가 붕괴되면 당대표 직무가 정지된 이 대표의 당대표직도 사실상 소멸한다. '당원권 정지 6개월' 징계가 '궐위'가 아닌 '사고'로 해석되면서 이 대표의 복귀 가능성이 열려 있었지만, 지도부 붕괴로 복귀할 자리가 사라진다.

이 때문에 이 대표의 잠행이 더 이상 당대표 복귀를 위한 여론 결집용 카드로 활용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대표 복귀 무산으로 잠행 중 모았던 당원들의 생각이 실현될 수 없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어서다.

이 대표가 잠행 중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윤 대통령과 친윤계를 겨냥한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당내 시선도 여전하다. 조해진 의원은 28일 SNS에 "이 대표는 자중자애해야 한다. 당과 정부, 본인 모두에게 도움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고 있다. 이 문자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대표가 바뀌니 달라졌습니다"라고 권 원내대표에게 문자를 보냈다. (공동취재사진) 2022.07.26.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고 있다. 이 문자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대표가 바뀌니 달라졌습니다"라고 권 원내대표에게 문자를 보냈다. (공동취재사진) 2022.07.26. [email protected]

그러나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과 권 직무대행의 '내부총질' 텔레그램 대화가 오히려 이 대표에게 호재로 작용하면서 장외 여론전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 대표의 징계에 '윤심'(尹心·윤 대통령 의중)이 작용했다는 인식을 대중에게 심어주게 되면서 이 대표는 이른바 '윤석열 정부의 탄압을 받은 사람'으로 남는다는 분석이다.

최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이 '성 상납' 의혹 사건 수사 책임자에게 압수수색과 소환조사를 하지 않았다며 질책한 사실도 결국 대중에는 정권 차원에서 이 대표를 압박하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하태경 의원은 지난 28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정치적으로 볼 때 이 대표가 불리하지는 않다"며 "경찰 수사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다면 (권력의) 압력이 있었다고 반박하기 좋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