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文연설문 전수분석]③취임 첫해부터 '북한'과 '일자리'에 매달렸다

등록 2019.09.22 07:02:00수정 2019.09.30 09:29:1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뉴시스 창사 18주년 기념 특집 빅데이터 분석

文대통령 취임 첫 해 '북한' '일자리' 최다 언급

2017년 北 핵실험 비롯 13차례 핵·미사일 도발

각종 공개석상서 하루 평균 두 차례 북한 거론

'한반도' '남북' '안보' '북핵' '동맹' 등 단어 상위권

공들였던 '일자리' 문제도 그 못지않게 자주 언급

'기업' '투자' '비정규직' '고용' 등 단어 100위권에

[文연설문 전수분석]③취임 첫해부터 '북한'과 '일자리'에 매달렸다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첫 달부터 '새벽잠'을 설치는 일이 자주 생겼다. 북한의 미사일 시험 발사가 반복되면서 아침 일찍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주재해야만 했다. 남북 정상회담 때 '새벽잠'이 화제에 올랐을 만큼 북한의 '도발 시계'를 멈추게 하는 것이 취임 첫 해 문 대통령의 가장 큰 숙제였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4·27 판문점 제1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에게 "우리 때문에 NSC에 참석하느라 새벽잠을 많이 설치셨다는데, 새벽에 일어나는 게 습관이 되셨겠다"고 언급한 장면은 아직도 회자된다.

문 대통령은 앞서 대북특사단을 통해 전해 들은 "새벽잠 설칠 일 없게 하겠다"는 김 위원장의 발언을 언급하며 "앞으로 발을 뻗고 자겠다"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새벽잠 설치지 않도록 제가 확인하겠다"고 화답했다.

남북 정상이 농담처럼 주고 받은 말이었지만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당시 문 대통령의 고민이 어떠했는지 유추해 볼 수 있다. 북한은 2017년 한 해 동안 핵실험을 비롯해 총 13차례의 핵·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문 대통령은 취임 나흘만에 NSC 상임위에 첫 참석한 뒤, NSC 전체회의를 7차례 더 열어야 했다. 북한이 11월2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 15형 발사를 끝으로 미사일 발사를 멈출 때까지 대통령의 '새벽 고민'은 계속됐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문 대통령의 고민은 공개 발언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취임 첫 해에 '북한'이라는 단어를 입에 가장 많이 올렸다. NSC 전체회의를 비롯한 각종 공개석상에서 북한을 총 474회 언급했다. 5월에 임기를 시작해 7개월 동안 하루 평균 두 번 꼴로 북한을 공개 거론한 셈이다.

통일이 되면 아흔 노모를 모시고 함흥 고향 땅을 함께 밟고 싶다던 문 대통령은 취임 나흘만에 엄중한 현실 앞에 마주했다. 나흘 전 취임식에서 "북핵문제를 해결할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했지만 새벽녘 날아든 북한의 미사일 발사 소식에 유감부터 표명해야 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NSC 전체회의 공개 발언을 통해 "이번 도발이 대한민국 신정부가 출범한 지 불과 며칠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일어났다는 점에서 북한의 무모한 도발에 깊은 유감을 표하고 동시에 엄중 경고한다"고 밝혔다.

취임 선서의 잉크가 채 마르기도 전에 자신이 국민 앞에 약속한 북핵문제 해결능력을 보여줘야 하는 상황에 놓인 셈이었다. 노모를 모시고 고향 땅을 밟을 통일의 그날과는 거리가 먼 '엄중 경고'가 첫 대북 메시지였다.

취임 일주일만에 정부 부처 가운데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를 가장 먼저 찾은 것도 안보 상황이 엄중하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문 대통령은 그 자리에서 "북한의 도발과 핵위협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국제사회와 함께 강력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한층 강경한 메시지를 발신했다.

북한과 개연성이 큰 단어들도 문 대통령의 연설 속에 자주 등장했다. ▲한반도(2위·474회) ▲남북(11위·204회) ▲안보(14위·189회 ) ▲북핵(17위·183회) ▲도발(22위·168회) ▲핵(27위·154회) ▲미사일(29위·150회) 등 북한과 연결지을 수 있는 단어들이 나란히 30위권 안에 자리했다.

이외에도 ▲한미(22위·168회) ▲동맹(38위·138회) ▲트럼프(70위·102회) ▲정상회담(72위·100회) 등 북핵 문제 해결 노력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 단어들이 취임 첫 해 상위권에 자리했다.

[文연설문 전수분석]③취임 첫해부터 '북한'과 '일자리'에 매달렸다


문 대통령이 북핵 미사일 위협에 새벽잠을 설쳤다면, 일자리 문제는 밤잠을 이룰 수 없었던 대표적 고민으로 평가된다.

대선 과정에서 '일자리 대통령'을 표방했던 문 대통령은 취임 직후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갖출 정도로 일자리 확대에 많은 관심을 쏟았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를 만든 것도, 취임 후 이틀 만에 첫 공개 행보로 비정규직 근로자와의 대화를 선택한 것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문 대통령의 의지를 엿볼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이러한 의지를 반영하듯 취임 첫해 공개석상에서 '일자리'라는 단어를 총 419회 언급했다. 북한(1위·474회)과 비교해도 크게 뒤지지 않을 정도로 여러 번 언급한 셈이다.

일자리와 연계된 키워들도 비교적 비중있게 거론됐다. ▲기업(7위·222회) ▲중소기업(55위·113회) ▲투자(63위·107회) ▲성과(75위·98회) ▲비정규직(81위·93회) ▲추경(88위·90회) ▲고용(94위·87회) ▲노동(99위·84회) 등 단어들이 100위권 이내에 있었다.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하면서 취임 첫 해 분야별로 국정과제를 수립하고 각 정책을 발표하느라 분주했던 점을 감안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그만큼 일자리 문제 해결에 있어 단기적 성과가 절실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이 취임 선서에서 "나라 안팎으로 경제가 어렵다. 민생이 어렵다. 선거과정에서 약속했듯이 무엇보다 먼저 일자리를 챙기겠다"고 약속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직접 연관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산업(16위·184회) ▲혁신(21위·169회) ▲개발(34위·145회 ) ▲기술(45위·123회) ▲산업혁명(78위·94회) 등 경제와 연관된 단어들을 반복해서 거론한 것도 일자리와 완전히 무관한 것은 아니다.

경제 정책 3대 기조인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는 안정적인 일자리 없이는 논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정부는 기업을 운영하기 쉬운 환경과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기업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경제를 이뤄야 한다는 게 문 대통령의 확고한 인식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