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 총리 "전국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로…민생경제 등 고려"(종합)

등록 2020.10.11 15:39:2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확산세 억제 판단, 국민 피로감과 경제 등 적극 고려"

"대상 위험도 따라 정밀 방역 강화…지자체 자율 보장"

"수도권은 다중이용시설 핵심 방역수칙 의무화 유지"

"한글날 집회, 불미스러운 일 없어 다행…경찰 등 감사"

"울산 아파트 화재, 헌신적 임해준 소방관들에게 감사"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정세균 국무총리가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0.10.04.  dahora83@newsis.com

[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0.10.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홍지은 기자 = 정세균 국무총리는 오는 12일부터 적용할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와 관련해 1단계로 완화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신종 코로나바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앙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전국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1단계로 조정하되, 방문 판매 등 위험요인에 대한 방역 관리는 강화된 수준을 유지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의 장기화에 따른 국민 피로도와 경제적 상황 등을 감안했다는 게 정 총리의 설명이다.

정 총리는 "이번 방안은 민생의 지속 가능성과 방역의 실효성을 조화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며 "지난 2주동안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하루평균 60명 미만으로 줄었고, 감염재생산지수도 1 이하로 떨어져 확산세가 억제되고 있다고 하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또 "장기간 계속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많은 국민들께서 피로감을 느끼고 계시고 민생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적극 고려했다"고 부연했다.

정 총리는 다만 "시설의 운영 중단은 최소화하면서 대상별 위험도에 따라 정밀 방역을 강화한다"며 "지자체의 자율권을 보장하여 방역수칙 위반시 과태료 부과 등 실효적인 방역조치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진정세가 다소 더딘 수도권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방역수칙 중 꼭 필요한 조치를 유지한다"며 "위험도가 높은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는 핵심 방역수칙이 여전히 의무화되고, 음식점·카페 등 밀집 우려가 큰 업소에서는 매장내 거리두기가 계속해서 시행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거리두기 조정방안에 대해 국민 여러분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요청했다.

또 완연한 가을 날씨에 접어들면서 외출객이 증가하고 있는 데 대해선 "관광버스 등을 통한 단체 탐방보다는 가족 단위의 소규모 탐방을 권해드리며, 단풍놀이를 가시더라도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고 사람들과의 접촉은 피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환경부와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서는 국민들께서 많이 방문하실 단풍 명소에 대한 방역관리를 강화해 주시고, 안전사고 예방에도 각별히 신경 써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정 총리는 지난 9일 보수단체가 예고했던 한글날 집회와 관련해선 "다행히 불법집회나 경찰과의 마찰 등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집회를 자제해 준 단체들과 불편을 감수해 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했다.

아울러 "집회 대응을 위해 휴일에도 수고해 주신 경찰 관계자 여러분께도 감사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8일 밤 울산 고층 아파트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한 데 대해 "사고로 피해를 입으신 입주민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심야시간대 발생한 화재에다 강풍까지 불어 자칫 잘못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뻔했지만, 사망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침착하고 차분하게 대피해준 아파트 주민들과 구조활동에 헌신적으로 임해준 소방관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와 격려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