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일기·취재수첩·성명서' 통해 5·18 항쟁 의의 전했다

등록 2021.05.18 13:41:3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41주년 5·18 기념식서 뮤지컬 드라마 펼쳐져

결연한 목소리로 항쟁 참상·의의 생생히 전달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우리들의 오월'을 주제로 41주기 기념식이 열린 가운데 김부겸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1.05.18. hgryu77@newsis.com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우리들의 오월'을 주제로 41주기 기념식이 열린 가운데 김부겸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1.05.18.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제41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당시 상황이 생생하게 담긴 일기·취재수첩·성명서 등 다양한 기록이 배우들의 힘찬 목소리로 소개되며 눈길을 끌었다.

제41주년 5·18 기념식 1막 기념공연 '광주의 오월'은 여고생 일기장, 기자 취재수첩, 시민 성명서 등 5·18 당시를 적은 기록물 3편을 재구성, 배우 3명이 차례로 독백을 하는 뮤지컬 드라마 형태로 꾸며졌다.

우선 항쟁 당시 광주여고 3학년생이었던 주소연씨의 일기가 여성 배우의 담담한 목소리로 식장에 울려퍼졌다.
 
일기 독백은 "이 사태를 직접 보지 않은 사람은 이 사태를 이야기할 수 없다"는 문장으로 시작했다.

"쓰러져 가는 많은 시민들을 보았는가. 시민군에게 호응하는 모든 광주시민을 보았는가"라고 되묻기도 했다.

"그 많은 수가 먹을 것에 구애 받지 않을 만큼 시민들의 호응이 컸다는 것을 아는가"라는 대목에선 주먹밥 등을 시민군과 나눈 오월공동체 대동정신이 다뤄졌다.

또 "외곽지대에서 계엄군이 주둔하고 있을 때 그들의 만행을 아는가. 광주시민 전체를 불순분자와 깡패로 본 정부를 인정하는가"라고 항변하며 "이외 모든 사실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이 사태를 안다고 이야기할 수 없다"라고 외쳤다.

이어 당시 동아일보 광주 주재기자였던 김영택의 13일간 취재 일기가 소개됐다.

두 번째 독백을 맡은 배우는 "19일 오후 4시 광주일고 인근 횡단보도 트럭 11대 공수대원 250명 뛰어내림. 반대편 전남대 학생 70~80명."을 시작으로 취재기를 나직이 읊기 시작했다.

"시민들 웅성웅성. 시민 여러분 돌아가십시오." "공수부대원 일제히 곤봉. 길가던 신혼부부 영문 모른 채 참혹한 구타." '비무장 학생에게 사격. 시민들 분개." 등 짤막한 기록임에도 불구하고 항쟁 참상이 생생히 전해졌다.

두 번째 독백은 "시민 여러분 앞으로 전진합시다. 태극기 들고 흔들어."로 마쳤다.

추모탑 중앙 앞에 선 세 번째 배우는 '1980년 5월25일 광주시민이 국민에게 드리는 글'(찬란한 민주의 꽃을 피울 그 날까지 총궐기하자)을 또렷또렷한 대사로 전달했다.

이어 "자유와 평등이 공존함으로서 인간의 존엄성이 흐르는 민주국가 건설을 위하여 분연히 쓰러져간 수 많은 민주 영령께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라며 "우리 광주시민은 모두 하나가 되어 독재를 깨뜨리고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승리의 계기를 잡고 있습니다"라고 힘차게 외쳤다.

아울러 "진정한 민주 사회가 건설되길 열망하는 국민 여러분. 역사의 심판이 내려질 그 날까지 우리 모두 이 민주 성전에 동참합시다"라며 "다시는 독재의 구렁텅이로 빠지지 않고 이 땅에 찬란한 민주의 꽃을 피울 그날까지 우리 모두 총궐기합시다"라는 비장한 목소리로 끝맺었다.

배우들이 퇴장한 직후 상영된 영상에선 '이름도 없이 얼굴도 없이 무고하게 사라져갈 지라도, 자유와 민주를 향한 광주의 오월은 눈부시게 빛났고,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는 거대한 흐름이 될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라는 자막이 흘러나왔다.
                                                       
한편, 정부가 주관한 41주년 5·18 기념식은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우리들의 오월'을 주제로 거행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