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급증하는 기업대출…커지는 '연쇄 부실' 위험

등록 2022.11.01 07:00:00수정 2022.11.01 07:08: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레고랜드 후폭풍에 자금조달 수요 은행권 쏠려

정부도 "회사채 발행 줄이고 은행에 대출" 유도

금융권은 상환능력 악화로 인한 '부실 징후' 경고

[광양=뉴시스] 전남 광양항 수출 컨테이너 부두. (사진=전남도 제공) 2022.10.31. photo@newsis.com

[광양=뉴시스] 전남 광양항 수출 컨테이너 부두. (사진=전남도 제공) 2022.10.3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최근 회사채 시장이 위축되면서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증가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레고랜드 사태로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요가 몰리고 정부도 채권발행 대신 은행 대출을 유도하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기업들의 상환 능력 악화로 인한 연쇄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1일 은행권에 따르면 기업대출 잔액은 9월말 기준 1155조5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올해 들어 9개월 연속 늘면서 전달보다 9조4000억원 증가했다. 회사채 시장 위축으로 기업들의 대출 수요가 몰리면서 동월 기준으로 지난 2009년 관련 통계 속보치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대기업 대출은 4조7000억원 늘어난 207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9월 기준으로 2009년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중소기업대출은 948조2000억원으로 4조7000억원 늘었다. 자영업자가 주로 빌리는 개인사업자대출은 1조8000억원 늘어난 442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기업대출 급증세는 10월에도 이어졌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잔액은 한 달간 9조원 규모 더 불어났다. 최상위 신용등급(AAA)인 한전채가 대규모로 풀리고 레고랜드 채무보증 불이행 사태로 채권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자금 조달이 다급해진 기업들이 은행 대출창구로 달려든 영향이다.

뒤늦게 수습에 나선 금융당국도 회사채 발행 대신 대출을 유도하면서 기업들의 은행 빚은 점점 더 크게 불어나는 형국이다. 금융당국은 우선 은행 통합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정상화 조치를 6개월 유예했다. 앞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85%로 완화했던 LCR을 은행들은 오는 12월까지 92.5%로 높여야 했는데, 이를 내년 6월말까지 유예한 것이다.

당국은 또 예대율 규제비율을 은행 100%→105%, 저축은행 100%→110%로 각각 6개월 이상 완화했다. 은행채 발행 수요를 낮추고 대출 여력을 늘려 기업에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조치다.

이에 시장에서는 빠르게 불어나는 기업대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향후 기업들의 상환 능력이 악화될 경우 연쇄적인 부실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최근 세계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비금융 기업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2분기 기준 117.9%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홍콩(279.8%)과 싱가포르(161.9%), 중국(157.1%)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수치다.

우리 기업의 부채 비율은 1년 전 111.7%에서 117.9%로 6.2%포인트 상승했다. 이 기간 100.6%에서 107.9%로 7.3%포인트 올라간 베트남 다음으로 높은 인상폭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역시 최근 분석보고서에서 한국의 기업대출 부실징후로 ▲코로나 이후 급증한 대출 규모와 ▲기업들의 대출 상환능력 악화 ▲높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 ▲부동산 등 취약업종으로의 대출 쏠림현상 ▲비은행기관을 통한 대출 비중 증가 등 5가지 요인을 지적했다.

전경련은 "레고랜드발 자금경색이 금융시장에 혼란을 가져온 가운데 또 다른 채무불이행 사태가 촉발될 위험이 있다"면서 "유사시 기업 유동성을 확충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