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낙연 '이재명 체제 총선 불가론' 펴며 맞짱 본격화

등록 2023.12.01 07:00:00수정 2023.12.01 07:05:3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낙연, 이재명 '사법리스크' 직격하며 거취 압박

신당 창당 가능성도…이낙연계 "이재명에 달려"

측근 김용 유죄 판결에 비명계 "진실이 밝혀질 것

사법리스크 확대 여부에 따라 공세 수위 높여갈 듯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28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연대와 공생' 주최 '대한민국, 위기를 넘어 새로운 길로' 학술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3.11.28. mangust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28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연대와 공생' 주최 '대한민국, 위기를 넘어 새로운 길로' 학술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3.11.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종희 기자 =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맞대결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이 전대표는 현 '이재명 체제'로는 내년 총선을 치룰 수 없다는 불가론을 띄우며 이재명 대표를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반면 이재명 대표는 각종 현안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면서 맞대응하는 모양새다.

이 전 대표는 사법리스크로 법원에 수시로 드나드는 이 대표가 총선 지휘가 어렵다는 이유를 들며 당대표직 사퇴를 압박했다.

1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대표를 향해 "(당대표가) 당장 일주일에 며칠씩 법원에 가는데 이 일을 어떡할까, 이런 상태로 총선을 치를 수 있을까 하는 것은 당연히 말을 할 법 한데 지금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이 대표가 최대 주 3회 재판을 받으며 당무에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을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에 공직선거법 위반, 대장동·위례·백현동 개발 특혜 및 성남FC 불법 후원금 의혹, 제3자 뇌물 사건 등으로 재판을 받고 있다.

이 전 대표는 신당 창당 가능성까지 언급하면서 이 대표를 연일 압박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싱크탱크 '연대와공감' 학술포럼에서 "여러 갈래의 모색이 있고 문제 의식에 공감하고 있다"며 신당 창당을 시사했다. 이어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도 신당 창당에 대해 "말해야 할 때는 말하겠다"고 했다.

최근에는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을 독대한 것을 두고도 여러 해석이 나왔다. 김 전 비대위원장은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 새로운선택 신당 창당 준비위원회 대표인 금태섭 전 의원 등과 교류하며 제3지대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다만 이 전 대표는 김 전 비대위원장과의 만남에 대해 "큰 의미가 있지는 않다"며 "(신당 창당 등) 그런 얘기까지 깊숙하게 나누지는 않았다"고 답했다. 

이낙연계로 분류되는 신경민 전 의원은 전날 라디오에서 이 전 대표의 신당 창당 가능성에 대해 "이제는 말뿐만이 아니고 행동으로 발이 움직여야 될 때가 다가올지도 모르겠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며 "키는 이 대표가 갖고 있다고 봐야 된다"고 말했다.

당장 신당 창당을 하진 않겠지만 이 대표가 강성 지지층을 앞세워 일방 독주식의 당 운영을 지속한다면 비명계와 함께 탈당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의 구속영장 청구가 기각되면서 잠시 소강 상태로 접어들었던 사법리스크가 측근들의 재판 결과로 확대되는 상황이다. 이에 이 전 대표의 사법리스크 비판이 힘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법원은 전날 '불법 대선자금 의혹'으로 재판에 넘겨진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에게 징역 5년을 선고하고 법정구속했다. 대장동 의혹과 관련한 이 대표 측근에 대한 첫 유죄 판결이다.

비명계는 김 전 부원장의 유죄 판결에 대해 "비극적인 일",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며 날을 세웠다.

윤영찬 민주당 의원은 전날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김 전 부원장 판결에 대해 "사법적인 형량의 문제에 대해서까지 얘기를 할 순 없지만 어쨌든 비극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이원욱 의원은 "진실을 가릴 수 있겠느냐. 또 정치 탄압이라 할 것"이라며 "진실은 밝혀질 것"이라고 했다.

이 전 대표와 비명계는 이 대표 본인과 측근들의 재판 상황에 따라 '이재명 체제'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김 전 부원장의 법원 판결에 따라 검찰이 경선 불법자금으로 수사를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당분간 이 대표를 향한 사법리스크 비판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이 대표는 이 전 대표의 거취 압박 발언에 대해 말을 아꼈다. 이 대표는 전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전 대표가 제기한 거취 문제에 대한 질문에 답변을 하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