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어촌-연안 연결 '바다생활권' 도입…2027년까지 매출액 50조원 달성 목표

등록 2024.05.13 07:40:00수정 2024.05.13 07:48: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해수부, '어촌・연안 활력 제고방안' 발표

어촌·연안 아우르는 '바다생활권' 만든다

수산업과 해양레저, 어촌과 연안관광 등 연계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재판매 및 DB 금지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해양수산부는 어촌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어촌・연안 활력 제고방안'을 마련해 13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해수부는 도시와 농촌에 비해 더 빠른 속도로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진행 중인 어촌을 살리기 위해 올해 초부터 '해양수산 민생개혁 협의체(TF)' 제1호 과제로 '어촌・연안 활력 제고방안'을 준비해 왔다.

이번에 정부가 마련한 '어촌・연안 활력 제고방안'은 '어촌'과 '연안'을 연결하는 '바다생활권'을 새롭게 도입해 '풍요롭게 살 수 있고, 즐겁게 찾고 싶은 바다생활권을 통한 민생경제 활력 제고'를 비전으로 한 네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테마별 바다생활권 경제・생활거점 만든다

우선, 어촌・어항 기반 바다생활권은 민간투자 유치를 확대해 나간다. 2025년부터 어촌 신활력 증진 사업을 개편해 민간투자 규모에 따른 재정지원 규모 차등화를 통해 대규모 민간자본과 결합한 핵심거점 위주로 투자를 강화하고, 다양한 민간투자 유형을 발굴해 나간다.

또 어촌・어항지역의 5800만평의 국・공유지를 활용해 기업을 유치하는 '어촌형 기회발전 특구'를 도입하고, 매력적인 인센티브를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부산, 인천과 같은 도시형 바다생활권은 해양수산 융복합 기능을 강화한다.

부산항 북항, 인천 내항 재개발을 통해 해양관광 거점으로 조성하면서, 놀거리, 쉴거리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복합 해양레저 관광도시 조성을 관계기관과 협의해 추진한다.
어촌-연안 연결 '바다생활권' 도입…2027년까지 매출액 50조원 달성 목표



수산업 혁신과 일자리 창출로 돈이 되는 바다생활권 조성

또 수산업 혁신과 일자리 창출로 돈이 되는 바다생활권을 만들기 위해 스마트・자동화 기술혁신으로 수산업을 매력적인 일자리로 전환한다.

어선어업은 2027년까지 규제를 절반으로 혁파하면서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양식업은 신규 양식장(김·2700ha) 개발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스마트・자동화를 통해 도시에서도 원격으로 양식장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개편한다.

아울러 2049개 어촌계 어장자원(총 24만ha)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마을어장은 면허・심사 평가제를 전격 도입하고, 어촌계원 고령화로 운영이 어려운 어장은 신규인력이 임대받아 운영할 수 있도록 임대제도를 활성화한다.

이 외에도 어촌 진입장벽 완화를 위해 어선은행 도입 검토, 어선・양식장 임대 지원 사업 확대, 신규인력 유치 어촌계에 대한 혜택 부여 등을 추진한다.

어촌-연안 관광 연계로 체험형 콘텐츠 확대

어촌에서 즐길 수 있는 체험형 관광 콘텐츠도 확대한다. 132개 어촌체험휴양마을에 도장찍기 여행(스탬프 투어)을 도입하고, 해녀, 갯벌 등 체험형 콘텐츠를 확대함과 동시에 호텔급으로 숙소 시설을 개선한다.

해양치유센터(5곳) 프로그램 개발,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반려해변(149곳) 활성화 등을 통해 국민이 쉼을 얻을 수 있는 바다쉼터도 조성하고, 서핑, 스쿠버다이빙을 즐길 수 있는 해양레저거점 확대(7개→8개)와 함께 인근 어촌관광을 연계해 나갈 예정이다.
어촌-연안 연결 '바다생활권' 도입…2027년까지 매출액 50조원 달성 목표



정주여건 개선으로 살기 좋은 바다생활권 조성

끝으로 관계부처 협업을 통해 주거 등 기초생활 인프라 개선도 차질 없이 진행한다.

인구감소지역에 적용되는 '세컨드 홈' 세제 혜택과 연계한 오션뷰 별장 활성화, 주거와 수산업 일자리를 함께 제공하는 '청년 귀어 종합 타운' 조성을 검토하고, 국토부, 행안부 등 8개 부처가 협업을 통해 주택단지와 생활인프라를 연계하는 지역활력 타운도 차질 없이 협력해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230개 섬・도서지역을 찾아가는 어촌복지 버스와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도입하고, 교육부의 교육발전특구와 연계한 지역인재 정주 유인체계 구축, 여성어업인 건강검진 등을 통해 복지체계도 빈틈없이 준비한다.

이 외에도 관심있는 국민이 귀어촌 정보를 편리하게 접할 수 있도록 귀어촌 정착정보 통합검색시스템을 고도화하고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활동하는 스타 귀어인 발굴도 추진한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어촌・연안 활력 제고방안은 풍요롭게 살 수 있고, 즐겁게 찾고 싶은 바다생활권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으로, 바다생활권을 중심으로 관련 정책을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바다생활권을 통해 지역경제가 살아나고, 어촌·연안의 생활여건이 개선될 수 있도록 다른 부처,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