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고물가 시름…소득 하위 20%, 셋 중 한 가구는 '적자'

등록 2024.05.23 12:00:00수정 2024.05.23 14:24: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분위 부모급여 등 증가로 월소득 115만원 7.6%↑

소득 낮을 수록 가구원수 적고 가구주 연령 높아

1·2·4·5 분위서 적자가구 비중 전분기대비 증가세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2일 오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방문객이 쇼핑카트를 끌고 이동하고 있다.2024.04.02.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2일 오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방문객이 쇼핑카트를 끌고 이동하고 있다.2024.04.02.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김동현 용윤신 기자 = 지난 1분기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득 분배는 개선됐지만 고물가 여파로 인해 적자 가구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 20% 가구의 60%는 소득보다 소비 지출이 많아 고금리와 고물가로 고통받는 서민 경제의 단면을 보여줬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득 1분위(소득 하위 20%)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만7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7.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상소득은 114만원, 비경상소득은 1만원 등이다.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은 24만1000원으로 전년대비 6.6% 늘었다. 통계청은 국민·기초·노령연금 수급액이 증가했고 부모급여 등 공적이전소득 증가가 전체 근로소득 증가를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소득 5분위(소득 상위 20%) 가구의 소득은 1125만8000원으로 2.0% 줄었다. 5분위 가구 소득은 전년대비 0.5% 감소한 경상소득 1099만원, 38.7% 줄어든 비경상소득 26만8000원 등으로 나타났다.

1분위 1.41명, 2분위 1.78명, 3분위 2.16명, 4분위 2.77명, 5분위 3.17명 등 가구원 수는 소득이 낮을 수록 적었고 1분위 62.6세, 2분위 53.7세, 3분위 50.3세, 4분위 48.9세, 5분위 49.4세 등 소득이 적을 수록 가구주의 연령은 낮게 나왔다.

즉 고령층이거나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낮다는 의미다. 다만 월 소득은 없어도 자산이 많아 저축예금 등으로 생계를 꾸리는 가구도 여기에 포함된다.

올 1분기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31만2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6% 줄었고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509만8000원으로 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지출 비중은 1분위 가구의 경우 주거·수도·광열(22.5%), 식료품·비주류음료(20.5%), 보건(13.5%) 순으로 높았고, 5분위 가구는 교통(15.4%), 음식·숙박(14.8%), 교육(12.1%) 순이다.
고물가 시름…소득 하위 20%, 셋 중 한 가구는 '적자'



최근 고물가로 인해 저소득층의 적자 가구 비중은 다시 늘었다. 적자 가구 비율은 소득에서 조세, 연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로 버는 돈에 비해 쓴 돈이 더 많은 가구를 뜻한다.

올 1분기 1분위 적가가구 비중은 60.3%로 전년동기대비 2.0% 포인트(p) 줄었지만 지난해 4분기 대비로는 4.5%p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가구 비중은 2분위 28.9%, 3분위 17.1%, 4분위 18.2%, 5분위 9.4% 등이다.

실제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95만50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2% 증가한 반면 소비지출은 131만2000원으로 8.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른 1분위 가구당 적자액은 35만7000원으로 계산된다.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 대비 지출이 증가한 것은 2분위(소득 하위 40%)에서도 확인된다. 2분위 적자가구는 28.9%로 지난해 1분기(28.0%)보다 0.9% 증가했으며 2020년 1분기 30.0%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3분위(소득 하위 60%) 적자 가구는 17.1%로 전년동기 18.2% 대비 1.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4분위(소득 상위 40%)와 5분위(소득 상위 20%)는 적자비중이 각각 전년동기대비 2.2%, 0.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소비지출이 1분위와 5분위 모두 소폭 감소한 것은 물가의 영향이 있을 수 있겠지만 상대적으로 지난해 소비지출 증가율이 높아서 발생한 기저효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창구 모습. 2023.06.26.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서울 시내 한 은행의 대출창구 모습. 2023.06.26.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