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학교 부실급식 논란…울산서도 급식 종사자 결원 사태

등록 2024.05.23 11:34:16수정 2024.05.23 13:32: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최근 모 중학교서 급식실 정원 절반 사직…"높은 업무 강도 못 버텨"

학교비정규직노조 "임금 등 근본적 처우 문제 해결돼야"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울산 학교비정규직노조가 23일 울산시교육청 1층 로비에서 학교 급식실 인력 충원 등 급식노동자 처우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5.23. gorgeousko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울산 학교비정규직노조가 23일 울산시교육청 1층 로비에서 학교 급식실 인력 충원 등 급식노동자 처우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5.23.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구미현 기자 = 최근 서울 서초구 한 중학교에서 조리원 결원에 따른 '부실급식'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울산 일부 학교에서도 올해 초 결원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비정규직 노조는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급식종사자 인력난은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23일 울산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에 따르면 최근 울산의 한 중학교 조리사·조리실무사 2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조리실무사 정원 4명 중 2명이 퇴사한 상황이다. 특히 신규 조리사는 3월 한달만 근무하고 사직했다. 남은 인력만으로 정상적인 급식 제공이 어렵자 대체인력 1명을 투입해 급한 불을 껐다. 노조는 높은 노동 강도로 인해 남은 인력도 언제 그만둘지 모르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울산은 신규 채용 미달 인원은 없지만 신규 조리실무사가 업무강도에 못 이겨 퇴사하는 경우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강득구 의원실(더불어민주당·경기 안양시만안구)이 공개한 광역시·도별 학교급식 채용(조리사·조리실무사)현황에 따르면 울산지역 입사 6개월 이내 퇴사자 수가 최근 3년 새 33명에 달한다. 2020년 7명, 2021년 8명, 2022년 18명으로 매년 느는 추세다.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울산 학교비정규직노조가 23일 울산시교육청 1층 로비에서 학교 급식실 인력 충원 등 급식노동자 처우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5.23. gorgeousko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울산 학교비정규직노조가 23일 울산시교육청 1층 로비에서 학교 급식실 인력 충원 등 급식노동자 처우 개선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05.23.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이에 울산학비노조는 23일 울산시교육청 1층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급식 노동자의 결원문제에 대해 교육당국의 근본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노조는 최근 논란된 서울 한 학교의 부실 급식 문제를 언급하며 이는 정부와 교육 당국의 직무 유기, 학교 급식실의 결원문제 방관이 초래한 사태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부실급식의 근본 원인은 학교급식 노동자의 노동강도로 인한 결원 문제 때문"이라며 "울산도 신규 조리실무사의 퇴사율이 높기에 이에 대한 대책을 울산시교육청이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 1명이 만드는 급식 양은 타 공공기관 급식 노동자 1명이 만드는 급식의 양보다 2~3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학교 급식 노동자의 기본급은 198만6000원으로 올해 우리나라 최저임금 206만 740원 보다 적다. 방학 중 월급이 없으니 최저임금 수준으로 전락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급식종사자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대체인력을 제대로 마련하고 노동강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학교급식노동자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처우를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울산시교육청은 급식실 종사자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은 “현재 지역 전 학교에서는 현재 조리실무사 결원 없이 정상 운영 중이 있다”며 “조리종사자 결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청에서는 단기간(2개월 이내) 대체인력 채용 절차 간소화 및 조리종사자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하는 등 지속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