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SK로 HBM 주문 밀려든다…최태원 "해외 생산도 검토"

등록 2024.05.24 10:16:01수정 2024.05.24 10:30: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日닛케이 인터뷰서 "다른 나라 생산 검토"

"반도체 R&D에서 일본 기업과 제휴 강화"

[서울=뉴시스]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56회 한일경제인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한일경제협회)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최태원 SK그룹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56회 한일경제인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한일경제협회)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에 대해 일본이나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 생산할 수 있는지 검토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최 회장은 23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를 통해 "국내 증산에 더해 추가 투자가 필요한 경우 일본,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 제조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현재 HBM 시장에서 점유율 1등을 차지하며 우위를 점하고 있다. 4세대 HBM인 HBM3에 이어 5세대 HBM3E도 사실상 엔비디아에 독점 납품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올해 HBM 물량 중 SK하이닉스 비중이 60%를 넘어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앞서 최 회장은 국내 취재진에게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SK하이닉스에 연구개발을 서둘러 달라고 말했다는 일화를 전하기도 했다. 그는 젠슨 황 CEO에 대해 "오랫동안 본 사람"이라며 "자기네 제품 빨리 나오게끔 우리 R&D를 서둘러 달라고 하더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또 반도체 R&D에 있어 일본 기업과의 제휴를 강화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HBM은 반도체를 쌓는 기술이 요구되고, 일본이 강점을 갖는 장비·소재사와의 긴밀한 제휴가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그는 "새로운 R&D 시설 설치나 일본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낸드플래시 업체 키오시아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SK하이닉스는 키오시아 최대주주인 한미일 연합(베인 캐피탈 컨소시엄)의 일원으로 간접 투자자에 해당한다.

최 회장은 "투자자로서 키오시아의 성장을 바라고 있다"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발언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밖에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 관련해서는 "중국 사업은 효율적으로 유지할 것"이라며 "당분간 사업을 계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주가 20만원을 돌파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엔비디아는 올 1분기 매출 260억 달러(약 34조원)로 전년 동기 71억9200만 달러 대비 262% 증가한 호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246억9000만 달러)를 웃도는 실적이다. 영업이익도 169억 달러(약 23조원)로 전년 동기 21억4000만 달러 대비 8배 급증했으며, 시장 전망치인 128억3000만 달러를 상회했다.

시장에서는 SK하이닉스의 HBM 경쟁력 우위가 지속된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HBM 예상 수요량 대비 생산량 60%를 점유할 것이고 경쟁사와 점유율 격차는 상당히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