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조명희 "윤 정부서 위성·우주산업 개발 발전 역할 기대"

등록 2024.05.26 10:13:37수정 2024.05.26 14:16:5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우주항공청, 윤 선대위 우주과학기술본부장 1호 기획"

"정부, 위성 공간정보(GIS) 전문 인력·인프라 구축해야"

[서울=뉴시스]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 2024.05.26(사진 = 조명희 의원실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 2024.05.26(사진 = 조명희 의원실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은 26일 "윤석열 정부에서 우수한 우리 위성영상을 개발도상국에 전파하고 우주산업 발전시키는 데 역할을 하고 싶다"는 바램을 내놨다.

조 의원은 이날 뉴시스와 만나 "위성 분야 1호 박사, 1호 교수, 벤처기업 창업자로서 (과학기술계) 비례대표였다. 40년간 쌓은 경험을 윤 정부 성공을 위해, 국민을 위해 기여할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의원은 "과학기술계 몫으로 국회에 왔다. 1호 법안이 노벨과학상을 겨냥한 기초연구진흥법이었다"며 "국회 본회의까지 통과시켰는데 해당 부처에서 시행을 안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전직 경북대학교 항공위성시스템전공 교수였던 조의원은 "대통령 선거 당시 우주과학기술본부장을 맡았는데 기획한 1호 공약이 국가우주항공청 설립이었다"며 "우주항공청이 오는 27일 개청을 한다. 이 분야의 1세대로서 매우 흡족하다"고 말했다.

한국판 NASA를 표방한 우주항공청은 차세대 발사체 개발, 우주과학∙탐사, 인공위성 기술 자립을 포함한 우주항공 분야에 대한 범부처 정책 수립, 연구개발(R&D), 산업 육성, 국제 협력 등을 전담한다. 윤영빈 서울대학교 항공우주학과 교수가 초대 청장에 내정됐다.

조 의원은 "제가 윤 교수를 우주항공청장에 추천했다"며 "윤 교수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2년을 같이 활동했다. (발사체 전공의 위성) 엔지니어링 분야에 이해가 깊고 합리적이고 성실하고 공감력이 있어 여러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분"이라고 전했다.

조 의원은 농업·산림부터 국토 관리 및 국방 안보 재해, 재난 등 다방면에서 위성을 활용한 공간 정보가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정부내 전문 인력과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정부가 전문가를 너무 소홀히 대우하고 있다면서 처우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위성을 활용하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며 "토양하고 기상이 작물에 가장 중요한데 (위성으로 보면) 적지적작이 가능해 양곡관리법 등 모든 법안의 답이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부처마다 위성센터가 있는데 전문가를 안 뽑고 행정직 공무원이 자리를 차지한다"며 "공무원들을 교육시킬 국가위성교육센터를 만들어야 되는데 위성 활동 촉진법을 통과시키지 못한게 너무 아쉽다"고 했다.

조 의원은 "우리나라는 전문가에 대한 배려가 너무 부족하다"며 "제 전공 분야를 활성화하자는 것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미래기술인 우주분야를 포함한 과학기술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한국 위성 기술에 대한 동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남미 등 외국의 관심이 크다면서 위성산업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조 의원은 필리핀 대통령 직속 국가우주항공청 초청을 받아 한국 위성개발 및 활용에 대해 수차례 특강을 한 바 있다.

그는 "제가 2008년부터 우리 아리랑 위성2호를 활용해서 몽골, 필리핀 , 베트남에 지리정보시스템 등을 구축해 줬다"며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이었는데 (개발도상국에서) 우리 위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많다. 우리 위성과 기술을 수출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미에서도 우리 위성에 관심이 아주 많다"며 "아르헨티나 대사관에서 우리 위성에 관심이 있다고 연락이 왔다. 남아메리카 주한대사 18명이 항공우주연구원을 방문하고 싶으니 조율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고 귀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