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公, 공공기관 만족도 미흡→우수…코트라·무보·축평원 6년째 우수
기재부, 2024년 고객 만족도 우수기관 64곳
2년 연속 미흡 기관 10곳 중 6곳 등급 상승
45개 미흡기관은 개선 계획 수립 이행 점검
![[울산=뉴시스] 조현철 기자 = 울산시 중구 우정혁신도시 한국석유공사 전경. 2020.12.31. (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0/12/31/NISI20201231_0000666064_web.jpg?rnd=20201231105715)
[울산=뉴시스] 조현철 기자 = 울산시 중구 우정혁신도시 한국석유공사 전경. 2020.12.31. (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지난해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우수 평가를 받은 기관이 전년보다 10% 넘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석유공사는 2년 연속 '미흡' 판정을 딛고 2단계 상승하며 '우수' 등급을 받는 등 6개 기관이 등급을 끌어올렸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전국 182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난해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우수' 등급을 받은 기관은 64곳(35.2%)으로, 지난해(45곳·24.6%)보다 10.6%포인트(p) 증가했다.
'보통'과 '미흡' 기관은 각각 72곳(39.6%), 45곳(24.7%)로 전년보다 9.6%p, 1.0%p 감소했다.
특히 2023년까지 2년 연속 미흡 등급을 받았던 10개 기관 중 6곳이 등급을 끌어올렸다. 이 중 한국석유공사는 2단계 상승해 '우수' 등급으로 올라섰고, 주택도시보증공사·한국마사회 등 5개 기관은 '보통'으로 전환됐다.
특히 석유공사는 알뜰주유소 운영 개선, 통계 서비스(페트로넷·오피넷) 강화 등을 통해 고객 편의사항을 반영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 한국무역보험공사, 축산물품질평가원 등 3개 기관은 6년 연속 '우수' 등급을 받았다.
코트라는 중소기업 수출 지원과 고객의 소리(VOC) 시스템을 운영해 고객 불만에 72시간 이내 응답 체계를 갖췄고,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축산물 원패스', '축산물유통정보 다봄'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의 반응이 좋았다.

지난해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우수 평가를 받은 기관이 전년보다 10% 넘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년 연속 미흡 판정을 받았던 6곳이 등급을 끌어올리며 고객경영 체계가 개선되는 모습이다. (자료 = 기획재정부 제공) 2025.04.15. *재판매 및 DB 금지
무역보험공사는 고객 관계 관리(CRM) 시스템을 활용한 고객 접점 관리와 내부 직원의 정서 관리 등을 지원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했다.
더불어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등 총 54개 기관의 평가 등급이 상승해 전반적인 고객 만족도 향상 흐름이 확인됐다.
정부는 45개 미흡기관에 대해 주무부처별 서비스 개선 계획을 수립해 분기별 이행 실적을 점검할 예정이다. 전반적인 고객중심 경영 체계가 정착되도록 컨설팅 교육, 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등도 추진한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실시하는 설문조사다. 해당 결과는 경영평가에 반영되며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에 공시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공공기관들이 고객만족도 조사를 통해 고객 만족 경영을 강화하고, 고객지향적 마인드를 제고하도록 적극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재부는 현재 기존 만족도 조사모델(PCSI 2.0)을 개선한 PCSI 3.0 모델을 개발 중으로, 올해 시범 적용 후 내년 전면 도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 한국무역보험공사, 축산물품질평가원 등 3개 기관은 6년 연속 '우수' 등급을 받았다. (자료 = 기획재정부 제공) 2025.04.15.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