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쓰레기 대란 피했다" 제주도-동복리 합의…차량 반입 재개

등록 2025.06.11 08:56:53수정 2025.06.11 09:10: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8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에서 마을주민들이 제주도를 상대로 농경지 폐열지원사업 또는 대체 사업 추진을 요구하며 이틀째 농성을 벌여 운반차량들이 도로 위에 서 있다. 2025.06.08. woo1223@newsis.com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8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에서 마을주민들이 제주도를 상대로 농경지 폐열지원사업 또는 대체 사업 추진을 요구하며 이틀째 농성을 벌여 운반차량들이 도로 위에 서 있다. 2025.06.08. [email protected]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마을 지원사업을 두고 갈등을 빚었던 제주도와 동복리 마을회가 합의에 이르면서 나흘간 지속됐던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 봉쇄가 풀렸다.

11일 제주도와 마을회 등에 따르면 이들은 전날 오후부터 진행한 협상에서 공동의견을 도출했다. 합의에 성공하면서 우려됐던 제주 도내 쓰레기 대란은 피하게 됐다.

이에 따라 도와 동복리 마을회는 이날 오전 도청 기자실에서 공동 브리핑을 진행, 합의 사항을 알릴 예정이다.

동복리 주민들은 농경지 폐열 지원사업 이행 등을 요구하며 지난 7일부터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의 진입로를 봉쇄하고 무기한 농성을 벌여왔다.

2019년 12월 말 준공한 환경자원순환센터는 약 15만㎡의 면적에 242만㎥를 수용할 수 있는 매립시설과 하루 500t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시설을 갖추고 있다.

도내 쓰레기 발생량의 90%를 처리하는 센터의 일일 쓰레기 반입량이 350~400t 수준으로, 사흘째 차량 반입로가 막히면서 막대한 양의 쓰레기가 처리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도민 불편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자 도는 지난 9일 법적·행정적 조치를 예고했다.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8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에서 마을주민들이 제주도를 상대로 농경지 폐열지원사업 또는 대체 사업 추진을 요구하며 이틀째 농성을 벌이고 있다. 사진은 운반 차량에 실린 가연 쓰레기 모습. 2025.06.08. woo1223@newsis.com

[제주=뉴시스] 우장호 기자 = 8일 오전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에서 마을주민들이 제주도를 상대로 농경지 폐열지원사업 또는 대체 사업 추진을 요구하며 이틀째 농성을 벌이고 있다. 사진은 운반 차량에 실린 가연 쓰레기 모습. 2025.06.08. [email protected]

이번 갈등은 폐열 활용사업을 놓고 제주도와 동복리 간 입장 차에서 비롯됐다.

도는 폐열지원사업이 2015년 간담회에서 제주시장의 구두약속은 있었으나, 정식 협약서나 공문서에는 폐열지원사업이 명시되지 않아 지원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아울러 2018년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폐열지원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했지만, 조사 결과 경제성 부족 등으로 사업 추진이 어려운 것으로 나와 이를 주민설명회에서 공개했다고 밝혔다.

도는 협약서에 명시된 사업과는 별도로 폐기물 처리시설을 활용해 마을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마을 주도 사업에 대해서는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해 행정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동복리와 함께 마을 단위 특화 개발사업 공모를 준비해 '동복리 탄소중립 마을만들기' 사업 제안서 제출을 완료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