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문체부 산하 법인대표에 '블랙리스트' 관여 인물 임명 논란
국립문화공단재단 초대 대표에 우상일 전 문체부 예술국장
'국정농단' 당시 조윤선 장관에 '블랙리스트' 보고한 장본인
문화연대 "피해 예술인에 대한 2차 가해…정치적 기획 인사"

【서울=뉴시스】방지원 인턴기자 =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에서 열린 '미술품 유통 투명화 및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에서 우상일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정책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 세미나는 국내외 미술품 감정과 법률 전문가들이 위작 근절 방안을 모색하고, 감정·유통 시스템, 법제 사례 등 국내에 적합한 제도를 찾아본다. 2016.07.0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대선 직전 문체부 산하 법인 대표에 블랙리스트 사태에 연루됐던 전직 문체부 관료를 임명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유 장관은 지난달 초 국립문화공간재단 초대 대표에 우상일 전 문체부 예술국장을 임명했다.
국립문화공간재단은 내년 개관 예정인 당인리 문화 창작발전소 등 국립문화예술시설 운영·관리를 목적으로 문체부에서 설립한 비영리법인이다.
우 대표는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태 당시 조윤선 문체부 장관에게 블랙리스트를 보고한 인물이다. 조 전 장관은 "우상일 예술국장으로부터 (블랙리스트가 있다는) 확정적 보고를 받았다"고 말한 바 있다.
또 우 대표는 2014년 국회 교육문화위원회 회의에서는 '여야 싸움으로 몰고 가야'라고 쓴 메모를 김종 전 차관에게 전달했다 발각돼 논란이 된 바 있다. 이 일로 우 대표는 징계를 받기도 했다.
과거 논란 뿐만 아니라 대선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시기에 이뤄진 인사여서 '알박기 인사' 논란으로 불거졌다.
문체부 관계자는 우 대표의 선임에 대해 "재단 정관에 따라 (유인촌) 문체부 장관이 대표를 지난달 임명했다"며 "모든 기관이나 단체가 임명안을 발표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우 대표는 2022년 그랜드코리아레저(GKL) 경영본부장에 내정됐지만 더불어민주당과 GKL 노조 반대로 선임이 무산된 바 있다.

문화연대가 우상일 국립문화공간재단 대표 선임에 대해 성명을 냈다. (문화연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연대는 우 대표의 선임 사실이 알려지자 성명을 내고 "임명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문화연대는 우 대표의 선임에 대해 "블랙리스트 피해 예술인에 대한 명백한 2차 가해이며, 블랙리스트 사태의 책임을 무마하려는 정치적 기획 인사"라며 "특히 이번 인사는 21대 대선을 불과 한 달 앞두고 단행된 전형적인 '알박기 인사'로 검열 정권의 유산을 노골적으로 이어가려는 의도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는 블랙리스트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하라", "이재명 정부는 검열과 배제의 문화행정을 반복한 윤석열 정권과 유인촌 문체부 장관이 주도한 정치적 기획 인사들을 전면 조사하라"고 요구 사항을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