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삼성·현대차 등 금융복합그룹 자본적정성 악화…19.4%p↓

등록 2025.06.25 06:00:00수정 2025.06.25 07:32: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금감원 "그룹 내 전이·집중위험 관리 강화"

삼성·현대차·한화·DB·교보·미래에셋·다우키움 등 7개 금융복합그룹의 지난해 말 기준 자본적정성 비율은 174.3%로, 전년 말(193.7%)에 비해 19.4%p 하락했다.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삼성·현대차·한화·DB·교보·미래에셋·다우키움 등 7개 금융복합그룹의 지난해 말 기준 자본적정성 비율은 174.3%로, 전년 말(193.7%)에 비해 19.4%p 하락했다.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여러 금융 계열사들을 거느린 삼성·현대차·한화·DB·교보·미래에셋·다우키움 등 7개 금융복합그룹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전년에 비해 20%p 가까이 낮아졌다.

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 부채 증가로 보험계열사들의 상황이 나빠진 것이 비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금융감독원이 25일 공개한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에 따르면 7개 금융복합그룹의 지난해 말 기준 자본적정성 비율은 174.3%로, 전년 말(193.7%)에 비해 19.4%p 하락했다. 다만 7개 그룹 모두 규제비율인 100%을 웃돌아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은 실제 손실흡수능력인 '통합자기자본'을 금융복합기업집단 수준의 추가적 위험을 고려한 최소자본 기준인 '통합필요자본'으로 나눈 것이다. 관련 법에 따라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금감원에 따르면 7개 그룹의 통합자기자본은 171조1000억원으로 전년말(175조8000억원)에 비해 4조7000억원(2.7%) 감소했다. 금리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로 보험계열사 그룹의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다.

반면 통합필요자본은 98조1000억원으로 전년 말(90조8000억원)에 비해 7조3000억원(8.1%) 증가했다. 해외 소속금융회사의 자산규모 증가, 보장성보험 판매 확대 등으로 보험계열사 그룹의 장해·질병위험액이 증가한 것이 배경이다.

그룹별로는 교보(201.4%)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DB(195.0%), 다우키움(193.8%), 삼성(185.1%), 미래에셋(164.2%), 한화(154.9%), 현대차(146.9%) 순이었다.

전년 말에 비해 미래에셋(+8.7%p)은 상승한 반면 교보(-37.5%p), 삼성(-25.4%p), DB(-23.7%p), 한화(-17.4%p), 다우키움(-14.9%p), 현대차(-7.7%p)는 하락했다.

금감원은 "미국의 관세정책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금리·주가 등 금융시장 변동에 따른 자본적정성 비율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금융복합기업집단 내 전이·집중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거래·공동투자 등 관련 잠재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 강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