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임인년 새해, '호랑이 기운'은 여기서…서울 '해돋이 명소'

등록 2021.12.08 06:00:00수정 2021.12.13 10:28: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경복궁·인왕산·호암산·개운산

[서울=뉴시스]인왕산 범바위에서 바라본 일출 (사진 = 서울관광재단) 2021.12.7.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인왕산 범바위에서 바라본 일출 (사진 = 서울관광재단) 2021.1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현주 기자 = 2021년도 어느덧 한 달밖에 남지 않았다. 다가오는 2022년은 임인년(壬寅年)으로 임(壬)은 검은색, 인(寅)은 호랑이를 뜻한다.

서울관광재단은 한 해를 마무리하고 다가오는 새해를 맞아 호랑이의 기운을 가득 받을 수 있는 '서울 해돋이' 명소 4곳을 추천했다.

'범 내려온다' 조선시대 경복궁, 호랑이 출몰

조선왕조실록을 들여다보면 경복궁과 창덕궁까지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기록이 등장한다. 태종실록에는 1405년에 호랑이가 경복궁 근정전 뜰까지 들어왔고, 세조실록에는 1465년에 창덕궁 후원에 호랑이가 나왔다는 말을 듣고 북악에 가서 호랑이를 잡아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다.

이런 호랑이 이야기를 떠올리며 경복궁을 방문한다면 색다른 시선으로 여행을 즐길 수 있다. 가장 먼저 경복궁의 정전인 근정전에 가서 호랑이상을 찾아보자. 호랑이상은 근정전 월대 1층의 정면 계단 양쪽에 놓여있다.

근정전은 정면으로 바라보는 것을 기준으로 오른쪽 끝으로 이동해 대각선 방향으로 건물의 형태를 감상하는 것이 포인트다. 근정전 왼쪽으로는 인왕산이, 오른쪽으로는 북악산이 병풍처럼 펼쳐진다.

[서울=뉴시스]경복궁 일출 (사진 = 서울관광재단) 2021.12.7.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경복궁 일출 (사진 = 서울관광재단) 2021.12.7. [email protected]

근정전을 지나면 경복궁 북측에 있는 향원정으로 가보자. 3년에 걸친 복원 공사를 마치고 지난달 공개됐다. 복원 전과 가장 큰 차이점은 남쪽에 있던 다리를 원래의 모습대로 북쪽 건청궁과 맞닿게 옮겼고, 다리는 아치형의 흰색 나무다리로 바꿨다. 

독립문역에서 도보 20분…인왕산 범바위

조선은 한양을 건설할 때 인왕산을 우백호로 삼고 도성을 수호하는 진산으로 삼았다. 경복궁에서 바라봤을 때 바위산의 형태가 고스란히 노출되어 있어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잘 드러난다. 한양도성길 따라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등산 초보도 산을 오르기 좋다.   

인왕산은 일출 산행으로도 인기를 끈다. 어둠 속에서 길을 나서야 하는 일출 산행은 어려워 보이지만, 인왕산은 범바위까지만 가더라도 멋진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어 등산 초보도 쉽게 일출 산행을 도전할 수 있다. 독립문역에서 출발하면 범바위까지는 약 20분만 걸으면 도착한다.

일출 시간이 되면 저 멀리 어렴풋이 보이는 롯데타워 뒤쪽의 산 너머에서 해가 떠오른다. 눈앞에 보이는 N서울타워도 햇빛을 받아 반짝이고 그 아래로 광화문과 을지로 일대의 고층 빌딩 또한 빛을 머금기 시작한다.

인왕산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지형이 호랑이처럼 보인다 하여 예전부터 호랑이와 관련된 전설이 많았다. 황학정을 지나 인왕산으로 올라오는 길에 금색으로 된 호랑이 동상을 세웠으니 하산 시 호랑이 동상을 찾아가보자.

[서울=뉴시스]호암산 깃대봉에서 본 일출 (사진 = 서울관광재단) 2021.12.7.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호암산 깃대봉에서 본 일출 (사진 = 서울관광재단) 2021.12.7. [email protected]


한양 천도와 태조 이성계의 전설이 깃든 호암산-호압사

호암산은 관악산 서쪽 끝에 있는 해발 393m의 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금천 동쪽에 있는 산의 우뚝한 형세가 범이 움직이는 것 같은 형세고, 산에는 험하고 위태한 바위가 있어 호암(虎巖)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금천구에서는 새해 첫 일출 맞이 행사를 호암산에서 진행하며 정상에 도착해 관악산 너머로 떠오르는 해돋이를 감상한다. 해발고도가 낮아 일출이 화려한 편은 아니지만, 호암사 뒤편으로 이어진 비교적 짧은 등산코스를 통해 해돋이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호암산 중턱의 호압사에서 등산을 시작해 데크 계단을 따라 오르다 보면 정상으로 가는 길과 호암산성으로 가는 갈림길이 나온다. 정상을 향해 길을 잡고 암반 구간을 지나면 호암산의 정상인 민주동산 국기봉이 나온다.

 돌무더기들이 널려 있고 가장 높은 바위에 세워진 국기봉에서 펄럭이는 태극기를 볼 수 있다. 관악산 능선에서 해가 떠오르기에 일출 예정 시간보다 10여 분 정도가 지나야 해돋이를 볼 수 있다.

[서울=뉴시스]개운산에서 바라본 일출 (사진 = 서울관광재단) 2021.12.7.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개운산에서 바라본 일출 (사진 = 서울관광재단) 2021.12.7. [email protected]


호랑이가 사는 산이라 불렸던 개운산

개운산은 안암동과 종암동, 돈암동을 잇는 산으로 성북구의 중심부에 있다. 해발은 134m에 불과하지만, 소나무가 우거져 한낮에도 빛이 들어오지 않을 정도로 어두워 호랑이가 사는 산이라 불렸다.

개운산 자락 아래에는 고려대학교가 뿌리를 내리고 호랑이를 상징 동물로 삼고 있어 고려대 학생들을 안암골 호랑이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성북구는 개운산 입구부터 마로니에 마당까지 이르는 1㎞ 구간을 무장애 길로 만들었다. 따로 정상부가 없는 산이지만 성북구의회 위쪽 높은 지대에 조성된 운동장에 가면 아파트 단지 뒤로 길게 늘어선 북한산과 도봉산의 능선을 감상할 수 있다.

하산 길에는 산자락에 자리한 개운사에 들러보자. 태조 이성계의 왕사였던 무학대사가 동대문 5리밖에 영도사를 지었다. 조선 후기에 와서 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 영도사에서 자랐는데, 왕위에 오른 후 '운명을 여는 사찰'이라는 의미인 개운사로 절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