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현지시간) 미국 CBS 등 외신에 따르면, 이 펭귄은 지난 4일 남극 칠레 곤살레스 비델라 기지 인근에서 발견됐다. 기지의 대원이자 사진가로 흰색 펭귄을 찍은 우고 알레한드로 하로스 게라는 "이 펭귄은 함께 살고 있는 14마리의 젠투펭귄(Gentoo Penguin) 무리 중 하나였다"며 "매일 다른 모습으로 우리를 놀라게 하는 남극에서도 이 모습은 더욱 특별했다"고 말했다.
해당 펭귄이 속한 종(種)인 '젠투펭귄'은 일반적으로 배는 흰색이고, 머리와 등은 검은색이다. 주황색 부리가 특징이고, 꼬리는 펭귄 중에서 가장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체의 체중은 약 5~8㎏ 정도로 현재 살아있는 종 중 황제펭귄과 킹펭귄에 이어 3번째로 크다.
온몸이 흰색인 이 암컷 펭귄은 루시즘(leucism·백변증)이란 유전질환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루시즘은 색소 부족으로 동물의 피부나 털 등이 하얗게 변하는 것으로, 멜라닌 합성 결핍으로 나타나는 알비니즘(albinism·백색증)과는 차이가 있다.
칠레 남극 연구소의 연구원인 루카스 크루거 박사는 현지 언론에 "루시즘은 일부 개체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유전적 변이로, 피부·깃털 또는 머리카락의 색소 생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또 "자연적으로 발생하며, 많은 경우엔 인구의 1% 미만에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수의사인 디에고 페날로사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기린·악어·고래·들소 등 다른 종에서도 이 돌연변이와 유사한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흰색 펭귄이 발견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약 8년 전에도 흰색 펭귄이 목격된 바 있으며, 지난 2020년 곤살레스 비델라 기지를 찾은 방문객이 흰색 펭귄을 봤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것이 이번에 뱔견된 펭귄과 동일하거나 동족일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유전자 변이로 온몸이 흰색인 돌연변이 펭귄이 남극 대륙에서 발견돼 주목을 받고 있다. 해당 펭귄을 촬영한 영상은 소셜미디어(SNS)에도 공유돼 화제가 됐다. 이 펭귄은 루시즘(leucism·백변증)이란 유전질환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 @hugoalejandro.h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