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00명 뿐인 흉부외과 전공의도 떠나"…증원 철회 호소

등록 2024.03.11 14:23:20수정 2024.03.11 14:32:1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흉부외과학회 "원점 재논의…정부 사과해야"

명예보다 ‘기피과’ 오명에서 이제 ‘낙수과’로

[광주=뉴시스] 전남대학교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의료진이 심장수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전남대병원 제공. 기사와 직접이 없습니다.) 2024.03.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전남대학교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의료진이 심장수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전남대병원 제공. 기사와 직접이 없습니다.) 2024.03.1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의대 증원을 두고 촉발한 의정 갈등으로 의료현장 혼란이 가중되는 가운데 심장흉부외과가 정부의 증원한 철회를 요구했다. 흉부외과 전공의 100여명도 설득하지 못한 정책으로 미래의료를 살릴 수 없다고 호소했다.

11일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는 성명을 통해 "협상과 설득 대신 압박과 강압을 선택한 정부는 미래 의료개혁이라는 이름으로 국민 건강과 생명, 의료제도를 무너트리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학회는 "수십 년을 함께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해 함께 노력했던 정부와 의료계의 공조가 균열이 생기며 무너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학회는 현재 100여 명밖에 남지 않은 흉부외과 전공의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노력을 보여달라고 했다. 전국 흉부외과 전공의는 78명으로, 올해 흉부외과를 신입 전공의 지원자는 29명이다.

학회는 "이들이 없다면 대한민국 흉부외과의 미래도, 필수의료의 미래도 없다"면서 "희생을 각오하고, 국민의 생명을 위해 모두 기피하는 흉부외과를 선택한 이들에게 정부는 ‘의료 이탈자’라는 오명을 씌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100여 명의 흉부외과 전공의조차 설득하지 못하는 정부가 국가의 필수의료와 대한민국 미래의료를 지킬 수 없다"라고 했다.

학회는 이번 사태로 전공의가 이유에 대해 "꺼져가는 생명을 지켜 내기 위해 사투를 벌여온 흉부외과에 덧씌워진 것은 '필수의료과'라는 명예보다는 '기피과'라는 오명이었고 이제는 '낙수과'가 되었다는 자조" 때문이라고 짚었다.

학회는 "흉부외과 의사는 어떤 경우에도 환자를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며 "지난 반세기 동안 그래 온 것처럼 환자의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며 동시에 전공의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이들을 지켜낼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정책 추진으로 결국 국민이 피해를 볼 것이라고 봤다. 학회는 "설득의 근거가 부족하고 협력의 명분을 찾지 못하는 졸속 정책"이라며 "실태조사·수가 재산정·구조적 개선 방안을 담은 정책과 재정 조달 계획을 담아 재구성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세계 제일의 의료 시스템이 자기 파괴적 의료 정책으로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다. 모든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온다"고 주장했다.

이어 "학회는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선 문제점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게 급선무라는 의견을 지속적으로 제의했다"면서 "원점에서 조건 없이 (정책을) 재논의하고 정부의 진정 어린 사과를 통해 지금의 사태가 임계점 아래에서 조속히 해결되기를 염원한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