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8000명 집회 강행' 민주노총…"경찰 수사는 민주노총 죽이기"

등록 2021.07.05 11:10:0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정부 의도 노골적…민주노총 과도한 탄압 중단을"

[서울=뉴시스]추상철 기자 =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가 5일 오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7.3 전국노동자대회 정부의 대응방침 규탄 입장발표'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기자회견장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대선출마 선언 기자회견장과 7.노동자대회 사진을 비교 전시했다. 2021.07.05.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추상철 기자 =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을 비롯한 지도부가 5일 오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에서 '7.3 전국노동자대회 정부의 대응방침 규탄 입장발표'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기자회견장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대선출마 선언 기자회견장과 7.노동자대회 사진을 비교 전시했다. 2021.07.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정부의 자제 요청에도 대규모 집회를 강행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5일 경찰의 수사 착수를 강력 규탄하며 "민주노총 죽이기"라고 반발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 사무실에서 '7·3 전국노동자대회 정부의 대응방침 규탄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민주노총에 대한 과도한 탄압을 중단하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민주노총은 지난 3일 서울 종로3가 일대에서 조합원 8000여명이 참여한 대규모 집회를 진행했다. 중대재해 근절 대책과 비정규직 철폐, 최저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기 위한 자리였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지난달 28일 민주노총 지도부와의 간담회, 지난 1일 임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 이어 지난 2일에는 직접 민주노총 사무실을 찾아 집회 자제를 거듭 요청했지만 민주노총은 끝내 집회를 강행했다.

당초 민주노총은 해당 집회를 여의대로에서 개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경찰이 여의도 일대를 원천 봉쇄하자 기습적으로 장소를 종로로 변경했다. 현재 서울 전역은 10인 이상 집회 금지다.

민주노총은 이에 대해 "대낮에 과거 독재정권 시절에서나 볼 수 있었던 경찰의 집회 원천 봉쇄가 있었다"며 "차량을 포함한 검문과 검색, 이것이 과연 촛불의 성과를 계승한다는 인권변호사 출신 대통령 재임 시절에 가능한 일이냐"고 반문했다.

민주노총은 특히 정부가 '특별수사본부'를 꾸려 이번 집회를 수사하고 나선 데 대해 "노동자들의 절박한 호소에 눈 감고 귀 닫고 입 다물며 나온 답이 특수본 설치와 엄정 대응이라니 남은 임기 동안 펼쳐질 행보가 눈에 보인다"고 힐난했다. 

김 총리는 민주노총이 집회 강행을 시사하자 지난 2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정부는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엄정 대응할 수밖에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한 바 있다.

민주노총은 이날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정부가 유독 집회 결사의 자유만 막는다며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민주노총은 "코로나19의 야외 감염율이 0.1% 미만이라는 연구 발표에 근거해 실외 스포츠 관람과 야외 콘서트 등이 허용되고 있다"며 "하지만 야외 집회는 철저하게 막힌다. 왜 같은 야외 행사인데 기준이 달라지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렇듯 일관성을 잃은 정부의 지침에 의해 혼란만 가중되고 논란만 야기된다. 그 과정에 민주노총 죽이기, 민주노총 고립시키기 등 의도가 너무 노골적으로 드러난다"며 "정부는 제발 절박한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들으라"고 촉구했다.

한편 집회는 오후 2시40분께 개최돼 1시간 만에 마무리됐다. 이 과정에서 민주노총과 경찰의 큰 충돌은 없었다. 다만 집회를 마치고 돌아가는 조합원 1명이 인도를 막은 경찰에 항의하다 연행됐고, 이후 석방됐다고 민주노총은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