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권단체들 "아프가니스탄 난민 보호 대책 마련해야"

등록 2021.08.17 17:00: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국 관련 기관 근무한 현지인들

'탈레반 반역자'로 여겨져…'위기'

"한국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해야"

[카불=AP/뉴시스] 지난 1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의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 공항에서 활주로를 따라 이동하는 미 공군 C-17 수송기에 아프간 사람들이 매달리고 있다. 탈레반이 점령한 아프간을 탈출하려는 아프간 시민 수천 명이 이날 공항 활주로에 몰려들어 일부는 필사적으로 미군 항공기에 매달리다가 추락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1.08.17.

[카불=AP/뉴시스] 지난 1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의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 공항에서 활주로를 따라 이동하는 미 공군 C-17 수송기에 아프간 사람들이 매달리고 있다. 탈레반이 점령한 아프간을 탈출하려는 아프간 시민 수천 명이 이날 공항 활주로에 몰려들어 일부는 필사적으로 미군 항공기에 매달리다가 추락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1.08.17.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국내 인권 단체들이 아프가니스탄 내 한국 관련 기관에서 근무했던 현지인들 보호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한국 정부에 촉구했다.

17일 '공익법센터 어필' 등 28개 단체로 구성된 난민인권네트워크에 따르면 이들은 "한국 기관을 도왔다 위험에 빠진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에 대한 피난 조력과 국내 난민들에 대한 송환 중지 등 대책을 긴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미군 철수 선언 4개월 만에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전역을 장악하면서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약 40만명의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집을 떠났다. 이에 유엔난민기구는 인접 국가들에게 국경을 개방하고, 법적 지위와 상관 없이 난민 신청 절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송환하지 않을 것을 촉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난민인권네트워크는 "이와 같은 인도주의적 위기는 한국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며 "한국 정부 및 기관을 위해 일했던 현지인 근무자들이 탈레반 진군에 의해 위험에 처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탈레반은 해외 정부의 활동에 도움을 주었던 통역사나 여러 민간인들을 '탈레반에 대한 반역자'로 여기며, 실제로 해외 기관과 연계해 활동했던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고 살해한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은 2010년 5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아프가니스탄 지역 재건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인 직원 다수를 통역사 등으로 고용하거나 직업 훈련을 실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난민인권네트워크는 "2014년 당시 한국 정부의 지방 재건팀이 철수하는 과정에서 남겨진 현지인 조력자들을 위한 보호방안이 없었던 것에 대해 국내 시민 사회의 비판이 있었는데, 그들과 그들의 가족이 진격하는 탈레반의 장악으로 인해 완전한 위험에 빠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는 구체적으로 '재정착 제도의 활용' 또는 아프가니스탄 공관이나 그 외 인접 국가 공관을 통해 신청을 받아 한국으로 피난할 수 있는 사증을 발급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내에 있는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에 대해서도 "현지 상황을 고려해 송환·보호소 구금 중지, 체류연장 등의 절차를 즉시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