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靑, 尹 집무실 이전 예비비 요청에 "내일 국무회의 상정 어려워" 제동

등록 2022.03.21 16:53:12수정 2022.03.21 17:26: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협의 잘 되면 임시 국무회의 열어 처리 가능"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1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 등과 관련 정부 입장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2022.03.21. bluesoda@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1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 등과 관련 정부 입장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2022.03.2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성진 기자 = 청와대가 윤석열 당선인의 대통령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계획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한 가운데, 오는 22일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도 집무실 이전 비용 관련 예비비 안건이 상정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윤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인사와 사면을 둘러싼 양측 간 갈등이 집무실 이전을 계기로 더욱 악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1일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집무실 이전을 위한) 예비비 국무회의 상정은 어려울 것으로 본다"며 "그러나 언제든지 (당선인 측과) 협의가 잘 되면 임시국무회의를 바로 열어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과정은 크게 어려운 게 아니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후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문 대통령 주재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를 브리핑하면서 "새 정부 출범까지 얼마 남지 않은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하겠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 안보위기가 고조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안보역량의 결집이 필요한 정부 교체기에,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런운 이전과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 이전이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충분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간에 쫓겨야 할 급박한 사정이 있지 않다면 국방부·합참·청와대 모두 보다 준비된 가운데 이전을 추진하는 것이 순리일 것"이라며 "정부는 윤 당선인 측과 인수위에 이런 우려를 전하고 필요한 협의를 충분히 거쳐 최종 입장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가 이날 당선인 측의 집무실 이전 방침을 제지하면서, 현재 권력과 미래 권력 간 갈등이 한층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당선인은 전날(20일) 직접 브리핑을 통해 집무실 이전 계획을 발표하면서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연쇄 이전 비용을 총 496억원으로 추산하고, 재원은 정부 예비비에서 조달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윤 당선인이 밝힌 496억원은 국방부·합참 이전 118억원, 국방부 청사 리모델링 252억원, 대통령경호처 이전 99억9700만원, 대통령 관저로 사용할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 리모델링 25억원 등이 포함됐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이날 오전 예비비와 관련, "인수위법 7조에 보면 인수위 업무에 따른 것 뿐만 아니라 관계 부처에 협조를 요청할 근거가 마련 돼 있다"며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검토를 거쳐 내일 국무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