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비대위 전환 '키' 쥔 與 최고위원들, 사퇴할까

등록 2022.07.30 08:00:00수정 2022.07.30 08:08: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배현진 최고위 사퇴에 초선 '비대위 전환' 압박 성명

최고위 기능 상실 조건 놓고 '전원 사퇴' VS '4명만'

지도체제 전환 분기점서 최고위원들 사퇴가 변수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국민의힘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를 나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07.2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국민의힘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를 나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07.2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강주희 기자 =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요구하며 최고위원직에서 물러나면서 남은 최고위원들이 비대위 전환의 키를 쥐게 됐다. 이들이 총사퇴할 경우 권성동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체제가 붕괴되면서 비대위 체제로 전환될 수 있어서다. 일부 초선 의원들이 배 최고위원의 사퇴를 계기로 비대위 전환을 요구하며 최고위원들의 사퇴를 압박하는 형국이다.

배 최고위원은 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이후 80여 일이 되도록 속 시원한 모습으로 국민들께 기대감을 충족시켜드리지 못한 것 같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그는 "당 지도부 한 사람으로서 많은 애정과 열정으로 지적했던 국민과 당원 동지에게 송구스럽고 그런 말씀을 깊이 통감한다"며 "마땅히 책임지고 끊어내야 할 것을 제때 끊어내지 않으면 더 큰 혼란이 초래된다"고 했다.

배 최고위원이 사퇴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초선의원들도 비대위 전환 체제를 요구하는 행동에 나섰다. 박수영 의원은 이날 초선의원 63명이 모여있는 단체 채팅방에 "최근 일련의 사태에 대해서 신속한 비대위 전환을 요구하는 성명서에 동의를 받고 있다"며 초안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차기 당권주자로 분류되는 김기현·안철수 의원도 비대위 체제 힘싣기에 나섰다.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줄곧 주장해 온 김기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지도 책임을 진 사람에게 선당후사, 선공후사는 어떤 경우에도 반드시 지켜야 할 기본 원칙"이라며 "지금은 비상시기고 비상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배현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 원내대표실에서 최고위원 간담회를 마치고 나와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  배 최고위원은 “윤석열 정부가 5월에 출범한 이후에 국민들께서 저희에게 많은 기대와 희망으로 잘 해보라는 바람을 심어주셨는데 저희가 80여일 되도록 속 시원한 모습으로 국민들께 그 기대감을 충족시켜드리지 못한 것 같다”고 밝혔다. (공동취재사진) 2022.07.2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배현진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 원내대표실에서 최고위원 간담회를 마치고 나와 최고위원직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

 배 최고위원은  “윤석열 정부가 5월에 출범한 이후에 국민들께서 저희에게 많은 기대와 희망으로 잘 해보라는 바람을 심어주셨는데 저희가 80여일 되도록 속 시원한 모습으로 국민들께 그 기대감을 충족시켜드리지 못한 것 같다”고 밝혔다. (공동취재사진) 2022.07.29. [email protected]


현재로선 당장 비대위 체제 전환은 쉽지 않아 보인다. 현행 국민의힘 당헌 제96조에 따르면 비대위는 당대표가 궐위되거나 최고위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 둘 수 있다. 현재 이준석 대표의 당원권 6개월 정지 징계가 '궐위'가 아닌 '사고'로 정리된 만큼 최고위 기능이 상실돼야만 비대위 체제가 가능하다.

그러나 최고위 기능 상실을 두고 현재 최고위원 7명 전원이 사퇴해야 한다는 주장과 과반 이상인 4명이 사퇴하면 된다는 의견으로 나눠지면서 논란은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권성동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과거 전례를 보면 최고위원들이 총사퇴를 한 후에 비대위가 구성됐다"며 "일부가 사퇴한 상태에서 비대위가 구성된 전례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배 의원의 사퇴와 별개로 최고위원들은 이날 비대위 체제에 대해 부쩍 말을 아끼거나 부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친윤계로 분류되는 조수진 최고위원은 "당헌당규상 비대위로 가려면 전원이 사퇴해야 한다"고 밝혔고, 김용태 청년 최고위원은 "나는 안 그만 둔다.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가 안정화로 접어들어야 한다"고 했다. 정미경·윤영석 최고위원도 사퇴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정부여당 지지율 하락과 윤석열 대통령의 '내부 총질' 문자 사태로 당이 큰 혼란에 빠진 만큼 비대위 전환을 요구하는 당내 목소리를 최고위원들이 외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여권 관계자는 "지도체제를 놓고 당 지도부와 의원들이 갈등을 벌이면 또다른 당내 문제로 비춰질 수 있다"며 "지도부가 침묵하거나 방기할 문제는 아닌 듯 하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