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문재인 "북 핵실험·고도화 강행시 사드 배치 불가피"

등록 2017.04.11 11:29:3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박영태 기자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대강당에서 진행된 ‘차기정부 중소기업 정책 관련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강연회’에서 중소기업인의 정책건의사항을 듣고 있다. 2017.04.10. since1999@newsis.com

【서울·창원=뉴시스】이재우 윤다빈 기자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11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관련,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하고 계속 핵을 고도화해 나간다면 그때는 사드 배치가 불가피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문 후보는 이날 오전 경남 창원컨벤션센터에서 경남비전 기자회견 직후 기자들과 질의응답에서 "북핵 폐기에 대한 북한의 태도에 의해 (사드 배치에 대한 입장이) 달라질 수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사드 배치를 그대로 하겠다 또는 기존 한미간 합의에도 사드 배치 방침을 철회하겠다 등 입장을 정하고 다음 정부로 미루자는 것이 아니다"며 "다음 정부로 결정을 넘겨주면 사드 배치를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인 카드로 사용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후보는 "사드는 결국 북한 핵에 대한 대응 방안 중 하나다. 그것도 방어 목적 무기다. 방어도 대한민국 전역에 대해 다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평택 이북, 수도권 지역은 제외된다. 그렇다면 방어도 제한적인 효용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보다 근본적인 것은 북핵을 완전히 폐기시키는 것이다. 북핵 폐기에 대한 북한의 태도에 따라 (사드 배치에 대한 입장이) 달라질 수 있다"며 "북한이 6차 핵실험 강행하고 계속 핵을 고도화해나간다면 그때는 사드 배치가 불가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을 중단하고 핵을 동결한 가운데 완전한 폐기를 위한 협상 테이블에 나서면 그때는 사드 배치 결정을 잠정적으로 보류할 수도 있다"며 "북한 핵을 완전히 포기하면 사드 배치가 필요 없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