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2020 CES]현대차가 공개한 미래 모빌리티 비전 'UAM-PBV-Hub'는?

등록 2020.01.07 0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현대차, CES 2020서 신개념 모빌리티 솔루션 비전 공개

UAM, 하늘을 이용하는 모빌리티...우버와 협업한 PAV 콘셉트 첫 선

PBV, 개인화 설계 기반 도심형 모빌리티...맞춤형 서비스 제공

Hub, 모빌리티 환승 거점...하늘의 UAM과 지상의 PBV 연결

[2020 CES]현대차가 공개한 미래 모빌리티 비전 'UAM-PBV-Hub'는?


[라스베이거스=뉴시스] 이종희 기자 = 현대자동차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CES) 2020'을 통해 차세대 모빌리티를 공개하고 콘셉트 모델을 전시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행사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 비전 구현을 위해 신개념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UAM(도심 항공 모빌리티) ▲PBV(목적 기반 모빌리티) ▲Hub(모빌리티 환승 거점)를 제시했다.

◇UAM, 하늘을 이용하는 모빌리티...우버와 협업한 PAV 콘셉트 첫 선

현대자동차가 역동적인 도시 구현을 위해 제시한 첫 번째 솔루션은 도심 항공 모빌리티, 'UAM(Urban Air Mobility)이다.

UAM은 전기 추진 기반의 수직이착륙(eVTOL)이 가능한 PAV(개인용 비행체)를 활용해 활주로 없이도 도심 내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도시화로 장시간 이동이 늘고 교통 체증이 심해지는 문제를 극복하는 동시에 모빌리티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킬 미래 혁신 사업으로 꼽힌다.

신재원 현대차 UAM사업부장(부사장)은 "이제 우리는 도심 상공의 하늘을 열어줄 완전히 새로운 시대의 앞에 와 있다"며 "UAM은 지상의 교통 혼잡에서 해방되어 사람들이 좋아하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줄 것"이라고 소개했다.

현대차는 UAM을 공개하며 ▲안전성(Safe)을 최우선 원칙으로 ▲저소음(Quiet) ▲경제성과 접근 용이성(Affordable) ▲승객 중심(Passenger-centered)이란 4대 원칙도 발표했다.

현대차는 안전성에 대한 다중화 설계의 일환으로 PAV 프로펠러 하나에 이상이 있더라도 문제없이 이착륙을 할 수 있도록 보증하고 비상 상황에 대비한 낙하산 전개 시스템도 갖출 예정이다. 저소음 측면에서는 도심 비행이 가능하고 탑승자간 원활한 대화가 가능하도록 저소음 설계를 할 계획이다.

또 자동차 제조업체 노하우를 이용, 공기역학적 설계, 탄소 복합재를 이용한 경량화, 생산성 있는 설계 기술, 운영 비용 절감 등으로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도록 가격 경쟁력을 갖춘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승객 중심의 사물 인터넷(IoT)이 결합된 내부 디자인을 비롯해 비행 편의성, 안정성을 확보한 이동 수단이 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대자동차는 PAV 콘셉트 'S-A1'을 함께 공개했다. 현대 PAV 콘셉트 'S-A1'은 전기 추진 방식의 수직이착륙 기능을 탑재하고 조종사를 포함 5명이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상용화 초기에는 조종사가 직접 조종하지만, 자동비행기술이 안정화 된 이후부터는 자율비행이 가능하도록 개발될 예정이다.

현대차는 PAV와 같은 이동 수단을 대량 생산하는데 필요한 차량 개발 및 제조 분야에 탁월한 역량과 전문성을 보유했다.

PAV 콘셉트는 세계 최대 모빌리티 기업 우버(Uber)와의 협업을 통해 완성됐다.

에릭 앨리슨(Eric Allison) 우버 엘리베이트 총괄은 "현대차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UAM 분야 우버의 첫 번째 파트너로 고객들이 안전하고 저렴하게 비행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매우 빠르고 훌륭한 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현대차의 제조 역량과 우버의 기술 플랫폼이 힘을 합치면, 도심 항공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큰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우버 등 다양한 글로벌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세계 최고 수준의 PAV 개발, 플릿(Fleet) 서비스 및 유지 보수, 이착륙장(Skyport) 개발 등 UAM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PBV, 개인화 설계 기반 도심형 모빌리티...맞춤형 서비스 제공

현대차가 제시한 두 번째 모빌리티 솔루션은 목적 기반 모빌리티, PBV(Purpose Built Vehicle)이다.

PBV는 미래 사회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한계 없이 수용할 수 있는 개인화 설계 기반의 새로운 도심형 친환경 모빌리티 솔루션이다.

PBV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탑승객이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 본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자유롭게 누릴 수 있도록 모빌리티 개념을 완전히 새롭게 재해석한 궁극의 이동형 모빌리티 콘셉트이다.

개인화 설계가 반영된 PBV는 도심 셔틀 기능을 비롯해 식당, 카페, 호텔 등 여가 공간에서부터 병원, 약국 등 사회에 필수 시설까지 다양한 공간으로 연출된다.

현대차는 PBV에 ▲도시의 상징(City Icon) ▲이동형 삶의 공간(Living Space on Wheels) ▲군집주행(Clustered Mobility)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가치를 적용했다.

이상엽 현대자동차 디자인센터장(전무)은 "PBV는 샌프란시스코 도시의 랜드마크인 '케이블카(Cable Car)'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 유전자(DNA)를 진보적인 관점에서 발전시켰다"며 "도심의 경관과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도시의 상징으로 탄생했다"고 소개했다.

PBV는 차량 하부와 상부의 완전한 분리가 가능하고 차량의 목적에 맞춰 기존 길이 4m에서 최대 6m까지로 확장된다.

차체 내부는 목적에 맞게 모듈화된 제품을 활용한 맞춤 제작이 가능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삶의 공간'으로 진화한다.

PBV는 전기차 기반의 친환경 모빌리티로, 인공지능(AI)이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고 이동 중 배터리 충전용으로 제작된 PBV로부터 충전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PBV간의 자율 군집주행이 가능해 개인별 수화물은 물론 미래도시 내 물류산업의 새로운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Hub, 모빌리티 환승 거점...하늘의 UAM과 지상의 PBV 연결

현대차가 공개한 세 번째 모빌리티 솔루션은 Hub(모빌리티 환승 거점)이다.

Hub는 하늘의 UAM과 지상의 PBV를 연결하는 구심점이다. Hub 최상층에는 PAV 이착륙장이 위치하며 1층에는 도심 운행을 마친 PBV가 Hub에 연결하는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이 다양한 방향에 설치된다.

PBV의 결합에 따라 Hub는 다양한 공간으로 변할 수 있다. 일례로, 공연장과 전시장 등으로 제작된 개별 PBV가 Hub에 모이면 Hub는 완성된 문화 복합 공간으로 변모한다. 외과, 치과, 안과, 약국 등 의료 서비스 PBV들이 결합하면 종합병원으로 Hub가 기능한다.

현대차는 스마트 모빌리티를 보다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미래도시 전역에 Hub를 배치해 UAM-PBV-Hub들의 연결을 통해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이동의 시간적 제약과,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넘어 사람과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창출해 활력 넘치는 인간 중심의 역동적인 미래도시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