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손실보상' 32.7만명·4400억…신속보상 57% 규모
중기부, 4일 오후 3시 기준 집행상황 발표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2분기 소상공인 손실보상금 온라인 신청이 시작된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서울중부센터에 소상공인 손실보상 홍보 입간판이 설치돼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2분기 손실보상은 약 65만개사에 8900억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온라인 신청은 29일부터 전용 누리집(소상공인손실보상.kr)을 통해 할 수 있다. 오프라인 신청은 10월 4일부터 사업장 소재지 내 가까운 시·군·구청에 마련된 손실보상 전용 창구에서 할 수 있다. 2022.09.29. [email protected]
손실보상금은 소상공인지원법에 따라 방역조치 이행에 따른 손실금을 분기별로 지급하는 것이다. 일회성 지원금인 '손실보전금'과는 다르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지난 4월17일자로 해제돼 보상금 지급은 이번이 마지막이다.
4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에 따르면 이 오후 3시 기준으로 35만7000개사가 손실보상을 신청했다. 신청액은 4830억1000만원이다. 이 가운데 32만7000개사에 4399억9000만원이 지급됐다. 전체 신속보상 대상 57만4000개사 대비 56.9%에 해당하는 수치다.
신속보상 신청 접수가 시작된지 5일동안 지급된 규모다. 중간에 연휴가 3일이나 있었음에도 신속하게 정상적으로 지급됐다.
이날부터는 신속보상 오프라인 신청과 확인요청·보상 신청도 가능하다. 온라인 신청은 이날부터 9일까지 첫 6일간, 오프라인 신청은 이날부터 주말을 제외한 7일까지 첫 4일간 홀짝제로 운영된다.
이날은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짝수 번호가 신청이 가능하다.
2분기 손실보상은 약 65만개사에 8900억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보상대상은 지난 4월1일부터 17일까지 영업시간 제한, 시설 인원제한 조치를 이행한 소상공인·소기업과 연매출 30억원 이하 중기업 중 매출이 감소한 65만개사다.
중기부는 지난 1분기(1~3월)와 동일하게 보정률을 100%로 영업이익 감소분 전체를 보상한다. 하한액도 100만원으로 유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