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안심하고 놀 수 있게"…어린이활동공간 진단 1300곳 확대

등록 2024.02.07 14: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환경부, 어린이 환경보건 관리대책 발표

환경 진단 1300개소, 시설 개선 850개소

환경 관리 대상 공간, 환경유해인자 추가

[서울=뉴시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 2일 겨울방학 기간 석면 해체·제거 공사가 진행 중인 서울 충무초등학교를 찾아 현장 점검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환경부 제공) 2024.02.0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지난 2일 겨울방학 기간 석면 해체·제거 공사가 진행 중인 서울 충무초등학교를 찾아 현장 점검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환경부 제공) 2024.02.02.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환경부와 관계부처가 어린이활동공간의 환경안전진단과 개선에 협업해 관리를 강화한다. 법적으로 관리할 어린이활동공간을 추가 지정하고, 어린이용품에 사용할 수 없는 환경유해인자도 늘릴 계획이다.

환경부는 7일 열린 제1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어린이 환경보건 관리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어린이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이라는 비전 아래 '어린이 환경유해인자 노출 저감 및 환경보건 인식 제고'를 목표로 하는 3가지 추진전략과 9개 추진과제로 구성했다.

어린이의 경우 단위 체중 당 음식 섭취량과 호흡량이 성인보다 높아 환경유해인자 노출 시 체내 축적 위험성이 높고 및 환경성 질환에 취약하다. 또 어린이는 실내 공간 위주 활동 양상을 보여 건축 자재나 어린이용품 등으로부터 배출된 유해물질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환경부가 소개한 자료에 따르면 어린이는 주중 평균 1시간 미만의 실외활동을 보이며 아토피 피부염 환자 중 0~9세가 29.2%, 천식은 23.5%, 알레르기 비염은 21.6%에 해당한다.

그간 정부는 어린이활동공간 13만5375개소 중 39.7%인 5만3714개소에 대해 점검을 하고 부적합 시설 8276개소 중 99.8%에 대한 개선 조치를 완료했으나 어린이 활동공간이나 용품 관리를 위해 관계부처간 협업 체계 구축, 어린이 환경보건에 대한 정보 격차 발생 등 한계도 있었다.

이에 환경부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합동 조사 및 개선 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어린이활동공간 환경안전 진단은 기존 500개소에서 올해 1300개소로 늘리고 시설 개선도 지난해 100개소에서 올해 850개소로 확대한다. 또 관리 대상 어린이활동공간을 2종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석면 위해성평가 컨설팅은 올해 50개소를 대상으로 신규 실시한다.

아울러 어린이용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 사용 제한 환경유해인자를 사용하거나 표시 의무를 위반한 어린이용품은 사업자가 자발적으로 회수하는 제도를 올해부터 시행하고 사업자와 정기적 소통창구를 마련한다. 사용제한 환경유해인자는 기존 4종에서 7종으로 늘린다.

아토피 피부염, 천식, 비염 등 환경성 질환을 앓고 있는 취약계층 어린이는 진찰료나 검사료, 약제비 등 진료를 지원하고 성장단계별 환경 노출 및 건강 데이터를 제공하는 어린이 환경보건 연구(출생코호트)도 지속 진행한다. 환경부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장단계별 환경유해인자 노출 수준, 주요 영향 및 저감 방법에 대한 지침서를 배포할 예정이다.

이 밖에 환경보건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환경보건 교육 수혜자를 기존 수도권 지역에서 지역과 취약계층 등 대상을 확대하고, 찾아가는 환경보건 교육은 기존 78회에서 올해 120회로 늘린다.

온라인으로 환경보건 교유콘텐츠를 10건 개발하고 어린이 환경보건 동아리 지원 사업은 기존 20개팀에서 50개팀으로 확대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미래세대 어린이를 위한 환경안전망 구축에 모든 사회 구성원의 각별한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다"며 "아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관계부처, 민간과 손을 잡고 어린이 환경보건 관리대책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