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르르' 갑작스런 경련, 소아뇌전증…"충분히 조절가능"[몸의경고]

등록 2024.05.18 10:01:00수정 2024.05.18 12:26:3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원인모를 '특발성 뇌전증' 30% 이상

"우울증 등 심리적 이상도 관찰해야"

"사회 구성원이라는 인식 개선 중요"

[서울=뉴시스]온라인 육아 커뮤니티를 보면 소아 뇌전증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하는 글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하지만 소아 뇌전증은 약물 치료로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이다. 사진은 남양유업의 뇌전증 인식개선 캠페인 영상. (사진= 뉴시스DB) 2024.05.1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온라인 육아 커뮤니티를 보면 소아 뇌전증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하는 글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하지만 소아 뇌전증은 약물 치료로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이다. 사진은 남양유업의 뇌전증 인식개선 캠페인 영상. (사진= 뉴시스DB) 2024.05.1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 “소아 뇌전증 잘 아시는 맘님 계실까요? 뇌전증이라니 너무 무섭고 눈물만 납니다.”

온라인 육아 커뮤니티를 보면 소아 뇌전증에 대한 두려움을 호소하는 글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온다. 하지만 소아 뇌전증은 약물 치료로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이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뇌전증은 특별한 유발 요인 없이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발작, 경련을 반복하는 것으로, 소아기에 이런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소아 뇌전증이라고 부른다. 염색체 또는 유전자 이상, 선천적 뇌 구조 이상, 뇌종양, 뇌혈관 이상, 중추신경계 감염 등으로 발병할 수 있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 뇌전증이 30% 이상을 차지한다.

많은 보호자가 발열로 인한 열성 경련을 뇌전증으로 걱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열성 경련은 뇌전증이 아니다. 열성 경련은 생후 6개월에서 5세(문헌에 따라서는 1세에서 6세) 사이 소아가 38도 이상 발열로 인해 주로 전신 경련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전체 소아의 2~5%에서 발생하지만 만 5세 이후 거의 소실된다.

다만 국소 부분의 발작이나 15분 이상 지속 또는 24시간 이내 2회 이상 발작 등으로 정의되는 복합 열성 경련의 경우 뇌전증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드물게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뇌전증 발작은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다. 흔히 잘 알려진 대발작의 경우 의식 없이 몸에 힘이 들어가 전신이 뻣뻣해지면서 규칙적으로 온몸을 떠는 증상을 보인다. 소발작의 경우 멍하게 의식 없이 서 있기도 하고, 일부 발작은 갑자기 몸에 힘이 풀리면서 의식을 잃고 쓰러지기도 한다.

아이가 대발작 증상을 보일 경우 우선 평평한 곳에 눕히고 가래나 침, 토와 같은 분비물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고개를 옆으로 돌려준다. 혀가 말렸다거나 숨을 못 쉰다고 생각해서 입안으로 손가락을 넣는 경우가 있는데, 소아라고 할지라도 턱 힘이 강하기 때문에 자칫 손가락을 크게 다칠 수 있어 삼가야 한다. 대부분 1~2분 이내 발작을 멈추지만, 5분 이상 지속 되면 응급실 내원을 고려한다. 팔다리를 주무르거나 바늘로 손발을 따는 등의 요법은 증상 완화에 효과가 없다.

[그래픽=뉴시스] 뇌전증은 특별한 유발 요인 없이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발작, 경련을 반복하는 것으로, 소아기에 이런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소아 뇌전증이라고 부른다. 염색체 또는 유전자 이상, 선천적 뇌 구조 이상, 뇌종양, 뇌혈관 이상, 중추신경계 감염 등으로 발병할 수 있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 뇌전증이 30% 이상을 차지한다. (그래픽= 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그래픽=뉴시스] 뇌전증은 특별한 유발 요인 없이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발작, 경련을 반복하는 것으로, 소아기에 이런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소아 뇌전증이라고 부른다. 염색체 또는 유전자 이상, 선천적 뇌 구조 이상, 뇌종양, 뇌혈관 이상, 중추신경계 감염 등으로 발병할 수 있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특발성 뇌전증이 30% 이상을 차지한다. (그래픽= 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일부 잘 알려진 특정한 소아 뇌전증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좋아지는 경우가 있어 발작 증상이 빈번하지 않다면 경과를 관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일부 제한된 경우로 치료의 결정은 반드시 의료진과의 상의가 필요하다.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항경련제 복용을 통해 증상을 조절할 수 있다. 대체로 70~80% 이상은 1~2가지의 약제 사용으로 경련이 조절되고 일상생활을 무리 없이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3가지 이상 약제로 2년 이상 치료해도 잘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은 경련과 발작 등의 증상을 억제하기 위해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하는 케톤 생성 식이요법을 고려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미주신경자극술, 뇌전증 수술 등도 시행되고 있다.

심영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소아 뇌전증의 경우 이후 우울증이나 다른 심리적인 이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며 “치료 못지않게 환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관찰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사회적 편견과 오해로 인해 환자 스스로 병을 숨기거나 부당한 차별을 받는 경우가 있다”면서 “뇌전증이 있는 사람은 사실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만큼 고혈압, 당뇨 등과 마찬가지로 증상을 잘 조절하면서 함께 사회를 이뤄나가는 구성원이라는 인식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