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북도 "주주형 공동영농 모델로 농업소득 2배 실현"

등록 2024.05.23 16:44:3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안동=뉴시스] 23일 문경시 영순면 공동영농단지 들녘에서 '경북 농업대전환 공동영농 성과보고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2024.05.23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뉴시스] 23일 문경시 영순면 공동영농단지 들녘에서 '경북 농업대전환 공동영농 성과보고회'가 열려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2024.05.23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뉴시스] 류상현 기자 = 경북도가 23일 문경시 영순면 공동영농단지 들녘에서 '경북 농업대전환 공동영농 성과보고회'를 열었다.

행사에는 이철우 도지사, 송미령농림축산식품부장관, 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시장·군수, 관계 기관·단체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농업대전환은 '농민은 땅도 있고 일도 열심히 하는데 왜 도시근로자 보다 못 사는가'에 대한 이철우 지사의 고민에서부터 출발했다.

경북도는 농업의 규모화, 기계화, 첨단화를 통한 소득 배가 실현을 위해 2022년 6월 '농업대전환 비전'을 선포하고, 혁신농업타운 조성, 첨단 스마트농업 확산, 미래형 사과원 조성, 가공산업 대전환 등 농업 전반에서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혁신농업타운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주주형 2모작 공동영농 모델이다.

법인을 중심으로 농가는 주주로 참여하고 경영은 법인에 일임하는 방식으로, 법인은 2모작 소득작목 재배로 발생한 수익을 배당형태로 지급한다.

이 영농 모델은 벼 대신 콩, 양파, 감자 등 고소득 작목을 심어 쌀 생산은 줄이고, 곡물 자급률과 농가 소득은 높이는 1석 3조의 효과가 있어 쌀 공급과잉, 고령화와 일손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지난해 시범 사업으로 선정된 문경시 영순지구는 60세 이상 고령농이 대부분으로 활기를 찾기 힘든 전형적인 농촌 마을이었으나, 법인 대표를 비롯한 젊은 청년들이 주축이 돼 80 농가가 의기투합해 공동영농을 위한 법인을 만들었다.

법인 주도로 벼농사만 짓던 110ha의 농지를 규모화해 여름철에는 콩을, 겨울철에는 양파와 감자를 심는 2모작 고소득 작목으로 전환함으로써 노동집약적 개별 영농에서 벗어나 기계화가 가능한 첨단농업으로 탈바꿈시켰다.

그 결과 벼 단작 때 7억7900만원이었던 단지 내 농업생산액(경영비 제외)이 2모작 전환 후에는 24억7900만원으로 3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안동=뉴시스] 23일 문경시 영순면 공동영농단지 들녘에서 열린 '경북 농업대전환 공동영농 성과보고회'에 참석한 이철우 경북지사(왼쪽)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모작 작물의 하나인 양파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2024.05.23 *재판매 및 DB 금지

[안동=뉴시스] 23일 문경시 영순면 공동영농단지 들녘에서 열린 '경북 농업대전환 공동영농 성과보고회'에 참석한 이철우 경북지사(왼쪽)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모작 작물의 하나인 양파를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2024.05.23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12월 말에는 참여농가 면적에 따라 3.3㎡(평)당 기본 배당소득 3000원씩 총 9억9800만원을 지급해 벼농사 때보다 많은 소득을 돌려주었다.

아울러 농가가 영농 활동에 참여할 때 일반 농작업은 9만원, 농기계 작업은 30만원을 지급해 총 3억4100만원의 영농 인건비를 지급했다.

올해는 작황이 좋아 전국 평균보다 15~20% 많은 양파 5000t, 감자 900t 정도의 수확이 예상돼 추가 배당도 가능해 농가소득은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문경 영순지구 늘봄영농조합법인 홍의식 대표는 "사업추진 과정에서 우여곡절도 많았지만, 법인을 믿어 준 농가에 소득으로 보답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행사에 참여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은 "경북이 농업에 혁신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각 지역에 혁신농업타운과 같은 우수사례가 많이 확산돼 농업이 청년들에게 더 매력적인 산업이자 고소득을 창출하는 산업,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산업으로 인식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문경 영순지구를 통해 경북이 전국 최초로 시도한 주주형 2모작 공동영농 모델이 농업·농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이런 혁신사례를 도는 물론 전국으로 확산시켜 대한민국이 농업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경북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지난해 문경, 구미, 예천 혁신농업타운 조성을 시작으로 올해는 특화품목형을 추가해 7곳을 운영할 계획이다.

경주시, 상주시, 청도군은 공동영농형으로 벼 단작에서 콩·양파·마늘·감자 등 2모작으로 전환한다.

특화품목형으로 영덕은 가을배추·감자·양배추·양파로, 봉화는 수박·토마토 2모작, 청송은 다축형 사과원으로 바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