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산시, 1차 추경 1조2627억 편성…"조선산업 위기극복 등 투입"

등록 2024.05.23 11:41: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도시 전반 역량 강화에 중점 투자

구·군 조정교부금 조기 지원·지방채 감액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부산시는 23일 연제구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올해 본예산 대비 8% 증가한 1조 2627억원 규모의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한다고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이 발표했다. 2024.05.23. dhwon@newsis.com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부산시는 23일 연제구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올해 본예산 대비 8% 증가한 1조 2627억원 규모의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한다고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이 발표했다. 2024.05.23. [email protected]

[부산=뉴시스]원동화 기자 = 부산시가 1조2000여 억원 규모의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발표했다. 달빛어린이병원 추가, 소상공인 지원 및 조선산업 위기 극복 등 사회, 문화, 복지, 생활 등 4개 분야에 예산을 투입한다.

부산시는 23일 연제구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올해 본예산 대비 8% 증가한 1조 2627억원 규모의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한다고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이 발표했다.

이 부시장은 "경제가 어려울수록 더 큰 어려움을 겪는 서민과 취약계층을 위해 예산을 최우선적으로 배정해 왔다"며 "지역기업과 청년들이 안정된 가운데 새로운 미래를 그려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부산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혁신 과제들을 구체화하는데 재정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추경은 세계잉여금 등 6834억원, 세외수입 증가분 539억원, 지방교부세 3225억원, 국고보조금 2129억원을 재원으로 마련했다.

편성 방향은 '다 함께 따뜻한 시민행복도시', '활력있는 경제와 다채로운 문화', '글로벌허브도시 조성', '시민행복과 도시품격의 완성요건이 될 저탄소그린도시 조성' 등 4개 분야다.
 
시는 어려운 지역경제와 구·군 재정 상황을 고려해 구·군 조정교부금 500억원 조기에 교부하고 지방채는 100억원 줄이는 등 경기 활성화와 재정건전성도 함께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먼저 ‘다 함께 따뜻한 시민행복도시’를 고도화에 1390억원을 편성했다. 부산형 시민행복정책 확산을 위해 449억원을 마련했다.

시는 대중교통 통합할인제(동백패스)에 396억원을 편성했다. 어린이 진료 공백 해소를 위한 달빛어린이병원은 이번에 국비를 받게 돼 4억4000만원을 편성해 3개소(총 7개소)를 추가로 운영한다. 올해 처음으로 시행하는 ‘부산청년문화패스사업’도 국비를 받아 13억4000만원을 편성했다.

아이키우기 좋은 부산을 만들기 위해서 174억원을 지출한다. 부산형 통합 늘봄 프로젝트, 만 6세부터 12세 어린이에 대한 마을버스 무료 이용을 위해 사용한다.

어린이복합문화공간 12개소 추가 조성, ‘울림공원 네트모험 놀이터’, ‘을숙도 유아숲 체험원’ 등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간도 확충할 예정이다.

지역의료 역량 강화를 위해 198억원을 사용한다. 서부산의료원 건립을 위한 부지매입비 잔여분을 반영하고, ‘권역외상센터 및 응급의료지원센터’ 지원 등을 통해 지역 의료격차를 해소에 나선다.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부산시는 23일 연제구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올해 본예산 대비 8% 증가한 1조 2627억원 규모의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한다고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이 발표했다. 2024.05.23. dhwon@newsis.com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부산시는 23일 연제구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올해 본예산 대비 8% 증가한 1조 2627억원 규모의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한다고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이 발표했다. 2024.05.23. [email protected]

고립예방 및 사회안전망 강화 400억원, 재난안전 관리에도 169억원을 편성했다.
 
경제와 문화를 위한 예산도 1017억원을 마련했다. 이중 소상공인 지원 및 골목상권 활성화에 451억원을 사용한다. 조선업 위기극복 및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360억원이 투입된다.

문화예술, 생활체육 분야도 206억원을 편성했다. 개관을 앞둔 ‘부산콘서트홀’과 ‘서부산영상미디어센터’ 마무리 공사비, 콘텐츠 제작비를 반영했다. 전국체전 경기시설 정비에 98억원을 편성해 내년 상반기 예정인 경기시설 공인에 대비한다.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에 1195억원을 편성했다.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 종합계획 수립용역을 통해 획기적인 규제혁신과 특례 발굴, 분야별 전략과제를 도출한다. 미래 부산의 흐름을 바꿀 수 있는 ‘가덕도신공항 2단계 확장 마스터플랜’도 선제적으로 추진한다.

첨단산업 육성 299억원, 지산학 주도 창업도시 조성 212억원, 글로벌 관광마이스도시 조성 202억원을 편성했다.
 
저탄소그린도시 조성에는 649억원을 편성했다. 해운대수목원, 화명공원, 낙동강정원 등 도시공원 조성 72억원, 노후 도시공간을 새롭게 정비하기 위한 예산 240억원을 반영했다.

국내 처음으로 부산에 건립되는 '소형모듈원전(SMR) 보조기기 제작지원센터' 부지매입비 등 저탄소그린도시를 위한 337억원도 포함됐다.

이 부시장은 "시민행복도시의 완성도를 한층 더 높이고 부산을 글로벌허브도시로 도약시키는데 전략을 다하겠다"며 "변화와 혁신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도록 시민 여러분과 부산시의회에도 적극적인 성원과 협력을 요청드린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