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산림당국 '영농부산물' 파쇄작업으로 봄철 산불 잡았다

등록 2024.05.23 11:26:3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영농부산물 파쇄 전년 比 8배↑, 불법소각 산불피해 6%↓

[대전=뉴시스] 영농부산물 파쇄활동의 산불억제 효과.(사진=산림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영농부산물 파쇄활동의 산불억제 효과.(사진=산림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올 봄 산림청을 중심으로 한 부처합동 영농부산물 폐기활동이 산불 억제에 큰 효과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청은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봄철 영농부산물을 지난해 대비 8배 이상 많은 11만7000여t을 파쇄한 결과, 봄철 소각산불 발생율이 6%포인트 감소했다고 23일 밝혔다.

산림청에 따르면 최건 10년 평균 소각산불 발생은 연 116건으로 전체 산불 화인 중 28%를 차지했으나 올해는 39건에 22%로 크게 줄었다.

소각산불은 산불발생의 주요원인으로 한번 발생하면 피해규모도 크지만 발화자가 직접 불을 끄는 과정에서 인명피해 위험성이 높다.

실제로 최근 5년 동안 소각산불 발화자가 직접 불을 끄다 4명이 사망했고 11명이 부상을 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영농부산물 불법소각 등으로 인한 산불 및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난 2월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농촌진흥청 등과 협의회를 구성해 적극 대응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파쇄기 662대를 보급했고 산림청은 산불인력 약 1만여 명을 파쇄작업에 지원했으며 농촌진흥청도 139개 시·군에서 파쇄팀을 운영하는 등 산불예방을 위해 범부처 협업을 통한 총력대응에 나섰다.

산림청은 마을회관을 순회하며 영농부산물 파쇄시연 및 불법소각 근절 계도 활동 등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홍보를 확대하는 한편 불법소각 과태료를 상향하는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해 처벌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범부처 협업을 통한 영농부산물 파쇄·수거 확대로 불법소각으로 인한 산불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며 "가을철 산불예방을 위해서도 산림청-농촌진흥청-지방자치단체 협력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