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지하철 빈 상가, 시민 위한 서비스 공간 재탄생

등록 2024.05.23 14:55:42수정 2024.05.23 16:58: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문화·예술지원, 정책과 지역특산품 홍보

[서울=뉴시스]노원구청 청년 팝업스토어(하계역, 청년창업지원). 2024.05.23. (사진=서울교통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노원구청 청년 팝업스토어(하계역, 청년창업지원). 2024.05.23. (사진=서울교통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서울교통공사(사장 백호)는 서울시와 25개 구청, 당진시, 영동군, 문화체육관광부 등 총 9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지하철 공실 상가를 '사회기여형 상가'로 조성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고 23일 밝혔다.

사회기여형 상가는 시민을 위한 공공서비스 정책과 연계된 공익적 상가를 뜻한다.

공사는 장기 공실 상태인 상가나 혼잡도 등으로 문제가 되는 상가를 사회기여형 상가로 바꿀 방침이다.

공공 기관은 사회기여형 상가를 일반 시민들이 접근하기 쉬운 정책 홍보 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미 서울시와 각 구청, 강원도 등이 19개역 20개소 임대차 계약을 맺고 사회적 약자 취업·창업 지원, 지역특산품 판매, 시니어·장애인 생산품 판매, 문화·예술 지원 등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2월 하계역에는 '노원구 청년 팝업스토어'가 조성됐다. 배달라이더, 대리기사, 학습지 교사 등 이동노동자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상반기 안에 사당역(2), 종로3가역(1)에 '이동노동자 쉼터'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 밖에 서울시 도서관 정책홍보를 위한 '광화문 책마당 전시룸' 개장, 자립 청년 창업 지원, 노년층 일자리 지원, 지방특산물 판로 개척 지원 등 각종 공익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

공사는 "과거 지하철 역내 유휴공간 대부분을 상가로 조성해 적자를 개선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정책을 시행했지만 일부 상가는 장기공실로 남아 역사 환경의 저해 요소가 되거나 고객 동선에 지장물이 되는 등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기도 했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우리 공사는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협력을 통해 공실 상가를 시민 공간으로 환원함으로써 공기업으로서 의무를 다하고자 한다"며 "향후 적극적인 홍보와 협의를 통해 사회기여형 상가를 지속해서 확대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