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윤, 기시다에 "라인야후, 한일관계와 별개…불필요한 현안 안되게 관리"

등록 2024.05.26 18:31:58수정 2024.05.26 18:33:4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윤, 한일 정상회담 의제로 다뤄

기시다 "보안 재검토 요구일 뿐"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5.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5.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양소리 김승민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에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 언급하며 "불필요한 현안이 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26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의 논란이 된 라인야후 문제를 논의했다. 라인야후 사태는 의제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윤 대통령이 먼저 언급했다고 한다.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행정지도가 국내 기업인 네이버의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는 아닌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 "우리 정부는 이 현안을 한일 외교관계와 별개의 사안으로 인식을 하고 있고, 따라서 앞으로 양국 간에 불필요한 현안이 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고 당부했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총무성의 행정 지도는 한국기업을 포함해서 외국기업들의 일본에 대한 투자를 계속 촉진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에 불변이 없다는 원칙 하에서 이해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총무성 행정지도는 이미 발생한 중대한 보안 유출사건에 대해서 어디까지나 보안 거버넌스를 재검토해 보라는 요구상항"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일 양 정부 간에 초기 단계부터 잘 소통하며 협력해 왔고 앞으로도 긴밀히 소통해 나갈 예정이다"고 답했다.

라인야후 사태는 일본 정부의 이례적 행정지도로 촉발됐다.

일본이 공동 대주주인 네이버로부터 일본 내 국민 메신저로 자리 잡은 라인을 빼앗으려 한다는 해석이 나오며 이는 한일 갈등으로 이어졌다.

라인야후 사태는 네이버가 지분 매각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입장을 밝히며 일단락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